잃어버린야생을찾아서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 – 어제의 세계와 내일의 세계
제임스 매키넌 지음, 윤미연 옮김 / 한길사 / 2016년 10월

“그런 한편 자연의 역사를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자연의 역사는 우리가 야생을 잃어버렸을 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내면에서도 뭔가를 잃어버렸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과거는 우리에게 묻는다. 무엇을, 어떻게, 그리고 왜 우리는 자신에게 망각을 허용했는지.”

-위의 책, P.14-5-

당신이 아는 야생이 진짜 야생일까?

당신은 자연이라는 말을 들으면 무엇을 떠올리는가? 나무와 숲이 우거진 수목원? 여행 때 찾아가곤 하는 해변이나 갯벌? 동물들이 자유롭게 거니는 드넓은 초원? 이 책에 따르면 이런 곳은 진정한 자연이 아니다. 이미 인간의 손길이 닿아 본래 그대로의 야생을 간직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수많은 국립공원이나 자연보호구역 또한 참된 야생이 아니기는 마찬가지다. 예컨대 많은 사람이 아프리카 세렝게티 초원 지역을 원시의 야생 자연이라 여긴다. 하지만 예전에 이곳은 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진 삼림지대였다. 오늘날 우리가 아는 자연은 인간 사회가 만들어낸 착각이다. 지구상에 남아 있는 진정한 야생 자연은 전 세계 대륙의 10%에 지나지 않는다는 게 이 책의 주장이다. 자연과 관련한 또 하나의 중요한 착각은 자연과 비(非)자연을 대립하는 것으로 여기는 사고방식이다. 흔히 인간이 아닌 것, 인간과 반대되는 것을 자연이라고 생각한다. 아니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자 자연 자체다.

이제 필요한 것은 ‘재야생화’다. 자연의 모습을 온전히 기억하고, 우리 삶에 의미 있는 것으로 다시 연결시켜야 한다. 재야생화는 인간 본질의 재야생화이기도 하다. 우리가 어떤 종류의 자연과 더불어 살지를 선택하는 것과 우리가 어떤 종류의 인간이 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은 같은 일이다.

물론 재야생화는 아주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지은이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한다. “숲에서 파도처럼 쏟아져 나오는 새소리를 듣고 싶고, 산란을 하러 돌아온 물고기들이 폐수로 시커멓게 오염된 강물을 은빛으로 바꿔놓는 광경을 보고 싶은 사람이 우리들 내면에 있다.”고 말이다. 지금 우리 인간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이 이것이다. ‘생태학적 인간’으로의 거듭남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 책은 묵직하고도 진지한 생태환경 에세이다. 방대한 문헌자료 섭렵과 사례 탐구 사이 곳곳에 삶과 자연에 관한 깊이 있는 철학적 성찰이 아로새겨져 있다. 자연의 본질과, 자연과 인간이 관계 맺어온 역사를 깊이 있게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장성익
환경과생명연구소 소장

*함께 읽으면 좋은 책

-<모래 군의 열두달> 알도 레오폴드 지음, 송명규 옮김 / 따님 / 2000년 4월

-<인간과 자연 | 한길그레이트북스 95> 조지 마시 지음, 홍금수 옮김 / 한길사 / 2008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