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에코페미니즘학교 페이지

[공지사항] 2018 구로 에코페미니즘 학교

안녕하세요. 2018 에코페미니즘 학교의 마지막! 구로 에코페미니즘 학교입니다.   <2018 마을공동체 “구로” 에코페미니즘 학교> 서로 존중하는 대안 공동체를 위한…

[공지사항] 2018 마을 공동체 에코페미니즘 학교

안녕하세요. 2018년 에코페미니즘 학교에 관심가져주시는 모든 분들께 환영의 인사를 드립니다. 참가하시고자 하는 강의 지역을 꼼꼼히 확인 후 선택해주세요. <…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6강 후기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5강 “우리는 어떻게 행복하게 일하고 살아갈까” 작성자 : 에코페미니즘 학교 서포터즈 최송희     6강. “대안은 있다, 행복하게…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4강 후기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4강 “우리는 어떻게 행복하게 일하고 살아갈까”  작성자 : 에코페미니즘 학교 서포터즈 최송희   3강. “보이지 않는 노동” (윤자영…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3강 후기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3강 “우리는 어떻게 행복하게 일하고 살아갈까”  작성자 : 에코페미니즘 학교 서포터즈 민형주   3강. “일하지 않아도 괜찮아” (…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1강 후기

[후기]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1강 “우리는 어떻게 행복하게 일하고 살아갈까”  작성자 : 에코페미니즘 학교 서포터즈 김기쁨   연대하고 나아가는 에코페미니즘 학교,…

[공지]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우리는 어떻게 행복하게 일하고 살아갈까”

  2017 에코페미니즘 학교 “우리는 어떻게 행복하게 일하고 살아갈까”   우리는 왜 열심히 일하는데 왜 여유롭지 않을까 감정, 돌봄노동은 왜 ‘보이지 않는’ 노동일까…

2016 에코페미니즘학교 1강 서포터즈 후기

안녕하세요, 아르네입니다! 7월 말에 여성환경연대에서 주최한 북콘서트를 다녀왔었는데요(블로그에 후기가 있어요~), 그 때 에코페미니즘의 새로운 시각에 눈을 뜨고  ‘더…

2016년 여성환경연대 에코페미니즘학교가 열립니다.

  <2016년 여성환경연대 에코페미니즘학교> 혐오의 시대, 소비의…

[후기] 불어라, 에코페미니즘 바람 1강 참여자 소감 나눔

지난 목요일, 신도림 예술공간 고리에서 에코페미니즘 시민강좌 ‘불어라, 에코페미니즘 바람’의 1강으로 여성학자 이경아님의 <성과주의 사회에서 모성의 길 찾기> 강좌가…

[후기 도시에서 일하며 산다는 것, 에코페미니즘 학교 5강 (10/29)

도시에서 일하며 산다는 것. 어떤 일을 하루 중 얼만큼 할 것인가. 어디에 살 것인가. 무엇을 살 것인가. 왜 사는 것인가. 에코페미니즘 학교 다섯번째 시간, 10월 29일 도시…

[후기] 몸에 대해 실컷 떠들었던 에코페미니즘 학교 4강 (10/22)

몸, 여성건강, 외모꾸미기를 주제로 실컷 자유롭게 떠들었던 지난 시간 (10월 22일) 에코페미니즘 학교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못생김을 숨기던 시절의 부끄러운 과거를 탈탈 털며…

[후기] 후끈후끈 달아오르기 시작한 에코페미니즘 학교 3강 (10/15)

벌써 에코페미니즘 학교가 개강한지 삼주차, 절반이 지나갔습니다. 이번에는 가부장제와 개발주의를 키워드로 핵발전과 공장식축산을 되짚어보며 에코페미니즘 가치와 고민을 나눠봤습니다…

[후기]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두번째 만남 (10/8)

지난시간 후끈후끈 했던 열기에 이어, 이제 조금은 덜 수줍고 어색한 기분으로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두번째 만남이 이뤄졌습니다. 10/8(목) 먹거리, 자급, 농사공동체를…

[공동체상영회] 10/10(토) 다큐 함께봐요!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공동체 상영회 “저는 <잡식가족의딜레마>가 동물권에 관한 영화로만 해석되지 않고 여성주의 관점에서 해석되길 바랍니다. 더…

[후기] 생생청춘 에코페미니즘 학교 첫만남 이야기

나는 왜 일해야 할까?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립은 가능한 걸까? 소비하지 않고는 살 수 없을까? 나의 몸과 자연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을까? 여성과 생태 사이 머물고 있는 고민을…

[공지] 생태에서 생존으로, 2015 에코페미니즘 학교가 열립니다!

생태에서 생존으로 생생청춘을 위한 2015 에코페미니즘 학교 여성과 생태 사이 머무는 다양한 고민의 결을 나누며 서로의 배움이 되어주는 특별한 학교가 열립니다. 이 학교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