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노동권 페이지

2020년: 코로나19로 의료종사자 17,000명 이상 사망

코로나19와 싸우는 의료종사자 2020년 한 해 동안 코로나19로 인한 의료종사자의 사망자 수가 최소 17,000명 이상이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국제앰네스티와 국제 공공부문…

해외의 북한 노동자 – 본국으로부터 착취당하는 자, 파견국으로부터 외면받는 자

해외로 파견된 북한 노동자의 인권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부터이다. 탈북인의 증언을 통해 해외의 북한 노동자가 처한 열악한 노동 환경이 알려지면서…

북한의 열악한 노동권 실태 – 국내편

세계인권선언 제23조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 중 하나로 노동권을 명시하고 있다. 노동은 인간의 삶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만큼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는 코로나19를 통해 더 나아갈 수 있다

코로나19COVID-19는 현 시대 속 우리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다. 이번 사태로 인한 고통은 바이러스가 사라진 이후에도 오래도록 계속될 것이다. 당장의 위기를 넘긴다 해도,…

[판결비평 167] 법원조차 '전례 찾아보기 어렵다'..…

헌법상 '노조할 권리'가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대표하는 대표적 재벌그룹 삼성은 오랫동안 '무노조경영'을 고집해왔습니다. 그간 적지 않은 노동자들이 삼성 안에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연속기고④] 신남방정책 성공에 필요한 '마지막 열쇠…

11월 25일(월)부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메콩 특별정상회의가 연달아 열릴 예정이다. 문재인 정부는 아세안과의 협력 강화를 위해 사람(people), 번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