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살림5일장]6월, 한살림 포장 돋보기
6월에는 환경의 날을 맞아 한살림 포장 현황과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봅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과 이상진 피플러스 대표와 함께하는 한살림5일장 6월 5일(토) 오전…
6월에는 환경의 날을 맞아 한살림 포장 현황과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봅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과 이상진 피플러스 대표와 함께하는 한살림5일장 6월 5일(토) 오전…
* 2021년 1월호(640호) 소식지 내용입니다 김동수·정애경 해남 참솔공동체 생산자 선명한 햇볕 아래, 바다를 맞은편에 두고 끝없이 펼쳐진 창창한 시금치 밭. 취재를…
* 2020년 12월호(639호) 소식지 내용입니다 조장래 의성 청암공동체 생산자 1년을 매달려야 볼 수 있는 결실 ‘300일 기도’. 의성 청암공동체 조장래…
* 2020년 7월호(634호) 소식지 내용입니다 봉화 산애들공동체 김동연 생산자 20년째 첫 마음 그대로인 천상 농부 농부의 딸로 태어났다. 서울에서 학교와 직장을 다녔지만…
사막화 대응 실천 사례로 국제적 주목받아 지속가능한 농업 시스템 통한 사막화 대응 실천 사례로 꼽혀 유기 농사, 직거래 운동, 약정생산, 도농교류 등 한살림 주요 정책 주목…
희망제작소는 기획연재 ‘코로나19 이후를 이야기하다’ 시리즈와 함께 시민의 목소리를 담은 에세이 공모전 ‘코로나 19,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를 진행했습니다. 시민들이…
* 2020년 6월호(633호) 소식지 내용입니다 문을 열고 들어서니 다채로운 빛깔과 무늬로 직조해 낸 카펫이 펼쳐졌다. 쭈그려 앉아 가만히 보고 있으니 각기 다른 빛깔과…
2020년 5월호(632호) 소식지 내용입니다 자연의 선순환으로 자랍니다 너무 순진했다. 항상 불이 켜 있어 낮과 밤을 알 수 없는 계사, 날개 한 번 제대로 펴볼 수 없는…
2020년 3월 11일, 후쿠시마 핵발전소사고 9주기를 맞아 한살림을 포함한 생협과 환경, 종교, 지역단체 및 정당 등 핵발전에 반대하는 전국의 시민사회단체 31곳이 참여하고…
초산정 한상준 식초 생산자 한상준 생산자는 2005년 어머니가 계신 고향으로 귀촌해 자연발효식초 생산을 시작했습니다. 전통방식에 따른 자연발효식초 생산법을 공부하고 연구하며…
한살림 가치와 지향을 담아 다양한 의견을 의미 있게 반영해 가겠습니다 11월 4일, 한살림조합원과 생산자, 실무자가 한 자리에 모여 한살림 물품 정책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2019 한살림 물품정책 토론회 밥상살림, 농업살림, 생명살림을 위해 물품으로 관계를 맺고 물품으로 사업과 활동을 펼쳐온 한살림에서 물품정책의 의미와 역할은 특히 중요합니다…
제10차 아시아민중기금 총회 지난 10월 5일, 필리핀 네그로스 섬에서 제10차 호혜를 위한 아시아민중기금(이하 아시아민중기금) 총회가 열려 한살림도 참석했습니다.…
대만 원주민, 한살림 생소하나에 공감하다 지난 8월 말, 대만원주민족촉진학회 활동가 및 원주민 생산자 22명이 한살림을 방문했습니다. 대만원주민족촉진학회는 대만 원주민…
풍성한 수확의 기쁨을 누리는 가을을 맞아, 벼베기·메뚜기 잡기 체험 행사를 진행합니다. 한살림 생산자와 조합원이 함께 만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며, 벼베기,…
기후위기 비상행동 참여 후기 과학자들은 지구가 급격히 뜨거워지고 있고, 앞으로 1.5℃ 이상 상 승할 경우 인류 생존 자체를 장담할 수 없게 된다고 경고합니다. 폭염과 마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