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불안정노동 페이지

[목차] 복지동향 2018년 3월호 제233호

편집인의 글 2018년 2월 제232호_장지연 |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기획주제 불안정 노동의 시대, 복지를 말하다 기획1 불안정 노동의 시대           신광영…

[기획4] 불안정 노동의 확대와 복지국가 혁명

불안정 노동의 확대와 복지국가 혁명1)    백승호 |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1970년대 이후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질적으로 변화해 왔다. 산업구조가 제조업에서…

[기획3] 고령자의 불안정 노동 실태

고령자의 불안정 노동 실태1)   최혜지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정은수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고령자의 불안정 노동, 간과되어진 이유와 주목해야…

[기획2]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젠더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   윤자영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산업사회와 후기 산업사회를 거치면서 취업자수로 따졌을 때 여성이 노동시장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는 데…

[기획1] 불안정 노동의 시대

불안정 노동의 시대   신광영 |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문제제기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불안정 고용이 새로운 시대의 키워드가 되었다. 취업을…

[편집인의글] 복지동향 233호, 2018년 3월 발행

편집인의 글   장지연 |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불안정한 노동은 곧 불안정한 삶이다. 적어도 일정 기간 고용과 소득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될 때 미래에 대한 계획도…

[안내] 신진연구자 공적연금 학술제

일시 : 2017. 12. 28.(먹) 14:00 장소 : 중앙대학교 대학원 301호 인사 : 정용건 (연금행동 집행위원장) 최경진(공공운수노조 국민연금지부 위원장) 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