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속에 숨은 봄을 찾는 달, 2월 이야기
김미숙(토종텃밭 지기)
2월이 되면 농부들의 눈과 코와 귀는 활짝 열립니다. 바람이 어디에서 불어오는지 소리는 어떠한지 귀를 엽니다. 꽁꽁 얼어붙은 흙이 녹아내리면 바람 속에 흙 내음이 숨어 있기에 코를 벌름거리기도 하지요. 봄이 얼만치 다가왔는지를 가늠하는 것이지요.
이제 눈이 녹아 비가 되고, 풀과 나무에 싹이 트는 입춘과 우수가 되었습니다. 농부에게 가장 중요한 일은 때에 맞춰 씨앗을 뿌리는 일입니다. 아무리 마음이 바빠도 녹지 않은 언 흙에 씨앗을 뿌릴 수는 없습니다. 그러려면 봄바람이 비를 데리고 와야 합니다. 봄바람을 머금은 비만 생명을 틔울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기다리기로 합니다. 기다리는 동안 농부들은 씨앗을 고릅니다. 무엇을 언제 어디에 심을 것인지 이미 머릿속에 다 그려져 있습니다. 수천 년 동안 심고 가꾸고 먹어왔던 익숙한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우리는 터박이 또는 토박이라 합니다. 거기서 이어 온 씨앗을 토종종자라고 합니다.
우리도 여지없이 토박입니다. 토박이 식물을 먹으며 아무런 문제 없이 살아가던 토박이들은, 이제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머나먼 나라에서 온 식물을 먹도록 강요받습니다. TV에서는 저명한 의사들에 의해 명약처럼 소개되고 채널을 돌리면 홈쇼핑은 판매에 열심입니다. 세계의 곡물시장을 점령한 초국적 기업은 토박이들의 입맛을 바꾸는 마케팅 전법으로 의사와 제약회사, 그리고 멋진 셰프들을 동원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입니다.
토종종자는 최악의 기상조건에 견뎌내며 환경에 적응하여 토착화된 종자입니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사람의 손이 간섭한 씨앗들이 맥없이 병들거나 벌레에 견디지 못하고 죽어 갈 때, 해마다 씨앗과 모종을 새로 사야 할 때, 더욱 소중하게 생각되는 것은 토종종자의 강인한 생명력입니다. 강인한 생명력을 고스란히 품은 이 토박이 식물을 먹을 때 비로소 이 땅에 사는 토박이들의 생명은 더욱 강건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종자전쟁의 시대를 맞아 생물자원을 지키는 일에 세계 각국은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어떠신가요? 어쩌면 혹시 시골의 부모님 댁에도 소중한 토종종자가 남아 있지 않을까 한 번 찾아보시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