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텃밭 지기의 편지
반짝이는 얼음의 달, 1월 이야기

김미숙(토종텃밭 지기)

 

 

 

김미숙(토종텃밭 지기)

 

인천대공원 한구석에 자리한 토종텃밭이 석삼년이 되었습니다. 모든 물이 바다에서 만나듯, 모든 환경 교육은 결국 사람과 자연이 하나요, 자연이 건강하면 사람도 건강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 작은 환경 운동의 시작이었지요. 무엇이든 소비하고 지속적으로 투입해서 더 많은 것을 얻어내기 위한 일은, 비단 농업이라고 해서 예외는 없었습니다.

화석에너지를 투입하여 짓는 농사에서 자유롭고 싶었던 토종텃밭 지기들은 이제 일기예보를 굳이 보지 않아도 하늘의 구름을 보고 내일의 날씨를 예측합니다. 바람에 섞여 오는 흙냄새를 맡으며 비가 올 것임을 예상하고, 뻐꾸기가 울면 고구마를 심으며 장마가 시작됨을 알게 되었습니다. 만물이 숨죽이듯 움츠러든 소한 추위에도 거두다 만 대파 곁에는 얼음이 얼지 않고, 눈 씻고 봐야 보일 정도로 작디작은 고들빼기의 씨앗도 때가 되면 절로 싹이 틈을 알게 됩니다. 하늘과 땅에 기대어 사는 모든 생명이 심을 때가 있고 거둘 때가 있으며 쉴 때가 있음을 알게 된 것은, 흙을 만지는 농부들이 저절로 얻게 되는 삶의 철학이기도 합니다.

농부는 흙을 살리고, 흙 속의 미물을 살리고, 마침내 사람을 살리는 살림꾼입니다. 너무도 많은 죽음과 죽임에 둔감해진 이 시대에 살림에 앞장선 농부들이 그 생명을 전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달마다 절기마다 헤아려 가며 농사짓는 사람들을 일러 씨갈이꾼이라고 불렀다지요. 올해도 어김없이 씨갈이꾼들은 달력부터 챙겨봅니다. 그리고는 새 해 달력을 장마다 넘겨가며 새로운 이름을 붙여 봅니다.

 

1월은 반짝이는 얼음의 달이요,

2월은 바람 속에 숨은 봄을 찾는 달이요,

3월은 흙 녹기를 기다리는 달이요,

4월은 씨앗주머니를 만지작거리는 달이요,

5월은 연두 빛 생기가 들에 가득한 달이요,

6월은 빈 광주리 가득하게 하는 달이요,

7월은 빗소리에 들판이 하늘과 가까워지는 달이요,

8월은 하늘과 땅이 불덩어리가 되는 달이요,

9월은 달과 가슴이 벅차오르는 달이요,

10월은 가지마다 열매 맺는 달이라,

11월은 찬바람에 마음을 비우는 달이요,

12월은 끝이 아닌 시작을 위한 달이라.

 

저의 달력은 이러합니다.

여러분의 열두 달은 어떤 달로 채우시려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