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 이용의 그림자

오늘날 우리는 물질 이용에 있어 상품의 노출, 유통 및 소비에 국경이 없기에 과거보다 쉽게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뿐만 아니라 SNS 과시용인 일명 ‘예쁜 쓰레기’라는 말 또한 등장했으며 편리한 삶을 위한 새로운 일회용품은 꾸준히 출현하고 있다. 이렇게 빠르고 저렴하게 구매해 몇 번 쓰지 않고 버려지는 물질들은 오늘날 쓰레기 문제를 키워나가고 있다.

쓰레기는 왜 문제가 되는 것일까?

쓰레기가 쌓여가고 있다는 것은 소비로 인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의 재활용율은 50%로 전 세계 20%, OECD 국가들 35%에 비하면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단위면적당 쓰레기 발생량은 미국 대비 7배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1900년 70억 톤이었던 전 세계 자원소비량은 2015년에 900억 톤으로 증가했다. 이런 거대한 가속(The Great Acceleration)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지구가 버틸 수 있는 지구 위험 한계선(Planetary Boundaries)의 9가지 중 6가지의 항목에서 이미 정상 범위를 벗어나 위험한 상태이다.

순환경제를 위한 세 가지 조건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는 순환경제로 향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여기에는 세 가지 조건이 있다.

  1. 물질 소비 줄이기

소비량이 그대로라면 재활용이나 재생자원 사용만으로 자원 수요 충당이 불가능하다. 그렇기에 재활용에 안주하기에 앞서 물질 소비를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소비자는 패스트패션이나 일회용품같은 불필요한 소비를 피해 절대적 자원 소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생산자는 제품의 무게를 줄이는 등 상대적 자원 소비 감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1. 재활용률 높이기

자원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전 세계 생활폐기물 재활용률은 20%에 그친다. 시간이 지날수록 쓰레기 배출량과 천연자원 투입량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 보증금제 등 더 적극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1. 고품질 재생원료 확보하기

현재의 재활용은 재활용을 반복할수록 물질의 가치가 떨어지는 다운사이클링(Downcycling)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몇 번 사용하지 않고 쓰레기로 버려진다. 하나의 물질을 반복해 사용하기 위해 재활용이 물질의 원래 가치를 회복하는 재활용(Upcycling)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