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4월호(643호) 소식지 내용입니다

진호공동체를 방문한 날, 바쁜 와중에도 공동체 회원 한 사람도 빠지지 않고 모두 모였다. “우리 공동체의 가장 큰 특징은 끈끈한 결속력”이라는 천용범 진호공동체 대표의 말을 여실히 보여주는 모습이었다. 한살림 생산자로 잔뼈가 굵은 이제철 생산자는 “젊은 층이 협조를 잘해서” 그렇다고, 공동체 막내인 최재섭 생산자는 “선배님들이 많이 가르쳐 주셔서” 그렇다며 서로에게 공을 돌렸다. 30대부터 7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생산자가 화합하는 비결을 조금은 알 듯했다.

 

한살림 수박의 절반, 진호공동체가 책임집니다

한살림부여생산자연합회(이하 부여연합회)에 속한 진호공동체에서는 수박, 딸기, 블루베리, 대파, 양파, 고추, 브로콜리, 상추, 가시오이 등 다양한 작물을 농사짓는다. 그중 대표적인 건 수박과 딸기로, 요즘은 수박이 한창 자라는 때다. “한살림에 공급되는 수박의 절반 가까이가 진호공동체에서 납니다. 해마다 3만 8,000통 정도를 내고 있지요. 한살림에서는 수박 하면 부여죠.” 이보학 부여연합회 사무국장의 말에서 자부심이 묻어났다.

진호공동체는 12월 한겨울에 자가육묘한 수박 모종을 심어 키우기 시작한다. “시중에서는 하우스에 보일러를 때니까 겨울나기가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한살림처럼 인위적으로 가온하지 않고 영하의 추위를 견디게 하기는 쉽지 않아요. 하지만 겨울을 난 수박은 식감이 아삭하고 당도가 높지요.” 이렇게 일찌감치 심어 가장 먼저 수확하기 때문에 한살림에 햇수박이 나오는 5월 초중순부터 6월 말까지는 부여 수박만 공급된다고 한다. 올해 처음 만날 수박에는 진호공동체 생산자의 손길이 닿았을 확률이 크다.

 

 

표고 키운 참나무로 퇴비를 직접 만듭니다

수박 같은 박과 작물은 땅심을 많이 소비하고, 연달아 심으면 농사가 잘되지 않고 병충해를 입기 쉽다. 땅이 안 좋아서 잘 크던 작물이 죽어버리는 일을 종종 겪던 진호공동체에서 찾은 해결책은 바로 유기 표고버섯 폐목재를 활용한 자가제조퇴비. 표고버섯을 기르던 참나무를 분쇄한 톱밥을 땅에 넣어 토양 유기물 함량을 높임으로써 땅을 기름지게 하는 것이다. “버섯이 자랐던 나무는 스펀지 같이 부식되어 있어서 파쇄하기 좋고, 나무 조직의 빈 공간마다 미생물 활동이 활발해서 땅에서 분해도 잘돼요. 생나무는 발효나 부식 과정을 별도로 거치지 않으면 오히려 작물에 해가 될 수 있어요.”

관행 표고버섯 폐목에는 잔류농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부여 지역에서 구한 유기 표고버섯 폐목만 쓴다. 좋은 나무인 건 곤충이 먼저 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 톱밥 속에 굼벵이가 엄청 많이 생겨요. 온 동네 곤충들이 와서 알을 낳는가봐.” 인근에서 한살림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박찬용 생산자의 농장에서 일 년에 8,000본가량을 가져오는데, 가장 젊은 최재섭 생산자가 “참나무가 워낙 무겁다 보니까 트럭에 싣고 오기가 엄청 힘들다”고 말할 정도니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이 퇴비를 쓰면서부터 서서히 땅이 좋아지는 게 보이기 때문에 기꺼이 어려움을 감수한다고. “해마다 토양검사를 하는데 톱밥을 넣고 유기물 함량이 올라갔어요.” 천용범 대표의 말에서 뿌듯함이 읽혔다.

 

 

농사도 함께, 퇴비 만들기도 함께

진호공동체 생산자들은 이 톱밥퇴비를 공동으로 더 잘 만들기 위해 십시일반 출자하여 영농조합법인까지 설립했다. 이보학 사무국장의 말처럼 “보통 의지를 갖지 않으면 어려운” 일이다. “땅심을 높이겠다는 공동의 목표가 있으니까. 유기 표고버섯 폐목을 확보하는 게 어려워 아직은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다른 생산지에도 공급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리 생산자들 다 잘되는 게 좋으니까.” 이제철 생산자의 말처럼 진호공동체는 자신들의 사례가 다른 지역에까지 확산되어 지속가능한 한살림 농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21년도 한살림생산자연합회 총회에서 자급퇴비 활성화 부문 모범공동체상을 수상한 것도 이러한 마음이 전해졌기 때문일 것이다.

 

전에도 앞으로도 같이 갑니다

천용범 대표에게 올해 계획을 물었더니 “회원 모두 초심을 잃지 않고 건강하게 농사 열심히 짓는 것”이라는 바람이 돌아왔다. 2012년 공동체 출범 당시 50대 ‘젊은 생산자’로서 한살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해준 진호공동체 생산자들. 여전히 한살림 생산공동체로 단단히 묶이던 그때 그 마음으로 산다. “도와달라고 하면 선뜻 도와주시고 알려달라고 하면 다 알려주세요. 우리는 경쟁하기보다는 다 함께 잘되려고 해요.”라는 최재섭 생산자의 말처럼 진호공동체를 대표하는 한마디는 그야말로 ‘공동체성’ 아닐까. 좋은 날만 있을 수는 없을 것이다. 농사가 안되기도 하고 사이가 안 좋을 때도 있겠지만, 그때마다 진호공동체는 “공동체는 같이 가는 것”이라는 공동의 믿음으로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 같다.

 

글 이선미 사진 김현준 편집부

 

[생산자 인터뷰]

자주 들락거리는 게 농사의 비결

천용범 진호공동체 대표

 

Q. 수박농사를 지은 지 15년째이신데요. 요즘은 주로 어떤 일을 하세요?
A. 요새는 순지르기를 하고 있어요. 수박은 포기 하나에 열매를 하나만 달아야 크고 맛도 좋거든요. 막내딸과 둘이서 하우스 12동을 다 하려니 일이 제법 많네요. 하우스 양쪽에는 양배추와 브로콜리를 심어서 기르고 있어요. 수박을 출하하기 전에 채소를 먼저 냅니다.

Q. 농사를 잘 짓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A. 작물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거죠. 자주 들락거려야 잘 자라고 있는지, 어떤 병이 왔는지 알 수 있고 필요한 영양소를 제때 줄 수 있어요. 올해는 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해 수박 포기 사이사이에 보리를 심어서 진딧물의 천적이 살게끔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안 되면 “너 클 대로 커라” 하고 두어요. 식물의 강한 생명력을 믿는 거죠.

Q. 어떤 농사에 관심이 있으세요?
A.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걸 좋아하는 편입니다. 전에 네트멜론을 기른 적이 있는데 다들 아삭한 게 진짜 맛있다고 하더라고요. 블랙다이아멜론과 애플수박 같은 신품종도 해봤어요. 우리 한살림도 특색 있는 작물을 들여와서 생산자에게도 도움이 되고 조합원에게 다양한 물품을 선보이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