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파니_12월.jpg

몇 년 전, 아테네를 여행하고 있었다. 새벽잠에서 깨어 파르테논 신전 주변으로 산책하러 나갔다. 보랏빛 하늘에 분홍빛 어스름이 퍼지고 있었다. 주인이 없는 고대의 신전의 주인공은 개였다. 길거리 개들은 여기저기를 분주히 돌아다녔다.  
아테네 거리에는 개들이 많았다. 홀로 삶을 꾸리고 있는 것인지, 집에 있다가 나처럼 산책 나온 것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거리의 개들은 당당하게 거리를 활보했다. 
선진국이라면 ‘유기견’ 신고를 받고 출동한 요원이 그들을 데려갔을지 모른다. 신고한 사람도 가여워하는 마음이 앞섰을 것이다. 이 개의 주인을 제발 찾아주세요. 개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모른 채.
인도 출신 영국의 동물지리학자가 영국 개와 인도 개의 통치 시스템을 분석한 적이 있다. 영국에는 두 가지 개가 존재한다. 반려견과 유기견. 동물복지 선진국인 영국에서 반려견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높은 삶의 질을 누린다. 그러나 길거리 개는 이 나라 법 제도에 없다. 그래서 반려견 아닌 모든 개는 ‘유기견’으로 분류되어, 대체로 동물보호소 입소 후 주인을 기다리다 안락사로 생을 마감한다. 대개의 선진국의 법 제도가 반려견 아니면 유기견이다. 한국도 마찬가지다.  
반면 인도에서는 길거리 개의 ‘존재’가 인정된다. 거리에서 뻔뻔하게 낮잠을 자고, 구걸하다가 발에 채일지라도, 개는 납치되어 안락사되지 않는다. 인도 말고도 여러 나라가 그렇다. 태국 치앙마이의 길거리 개는 아침 저녁 제 끼니를 챙겨주는 친절한 사람들을 차례로 방문하며 매일 규칙적인 여행을 한다. 여러분도 동남아시아에서 이런 개들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인도 한가운데를 안방처럼 퍼 자고 있는 개를. 그들은 주인이 없다고 안락사 되지 않는다.
영국과 인도, 두 나라 개 중에 어떤 개가 행복할까? 삶은 개별적이고 행복은 지수화할 수 없어 부질없는 질문이다. 그러나 그간 내 생각이 좁고 편협했던 건 확실하다. 
영국으로 대표되는 문화권에서 개는 삶과 죽음의 담벼락을 위태롭게 걷는다. 누군가의 소유일 때는 행복하게 지내지만, 누군가에게 버려지는 것은 죽음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과 같다. 반면, 인도로 대표되는 문화권에서 개는 도시 생태계의 다양성 아래 존재한다. 어느 정도 독립적이고 어느 정도 보살핌을 받는다. 물론 그들이 영국 개보다 항상 행복하다는 건 아니다. 선진국의 ‘우아하고’ ‘제도적인’ 안락사의 반대편에 전근대적인 학대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를 여행하면서 독립적이고 자유로워 보이는 개와 고양이를 관찰하고 사진을 찍었다. 자유와 속박은 극단에서 우리를 유혹한다. 그러나 우리는 무한의 자유도 무한의 속박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나중에야 깨닫는다. 그저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둘 사이에서 줄타기를 잘하는 게 인생의 지혜라는 것도.  
그날 낮, 파르테논 신전에 오르고 있었는데, 전망 좋은 자리를 누런 개가 차지하고 엎어져 자고 있었다. 너의 집은 어디니? 조금만 비켜줄래. 나도 좀 낮잠을 자게.

-----

*모두가 잠들었는데 신이 잠깐 왔다 간 순간, 소음과 혼란에서 갑자기 완벽한 조화가 찾아든 순간, 영원에 닿아있는 이 시간을 우리는 '에피파니'라고 부릅니다. 세계를 여행하며 만난 동물과 자연에 대한 짧은 생각을 한 장의 사진과 함께 담아봅니다.

<필자 소개>
남종영 생태지평연구소 운영위원 / <한겨레> 기자
15년 전 캐나다 처칠에서 북극곰을 만난 뒤 기후변화와 고래, 동물 등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