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 여름새인 제비는 4-7월 사이 둥지를 틀어 번식을 한다. 제비는 농경사회에서 벌레를 잡아먹어 해충 방제효과를 주는 이로운 새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한 마리당 2만 여원에 해충 방제효과를 보인다는 결과도 있다고 한다.

설화나 동화에서도 익숙하게 나오는 제비는 사람과 가까이 살아가는 야생동물 중 하나다. 그러나, 도시화와 산업화를 거치며 토지이용방식이 달라지고, 살충제등의 과다한 살포 인해 제비의 수는 급감했다. 보금자리를 찾는 것 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제비는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곳에 처마아래에 번식한다. 사람이 살지 않는 곳에는 번식하지 않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과 매우 가까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럼에도 번식하는 제비 배설물로인해 번식때 사람들의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둥지에서 바로 배설하는 제비로 인해 바닥이 더러워지고 냄새나는 것으로 취급해 둥지를 지으면 허물어버리는 경우도 종종 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이런 제비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제비 배설물 받침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먼저 설치할 곳은 대전에서 대표적으로 제비를 만날 수 있는 지점인 ‘대전 서남부터미널’이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이 곳에서는 매년 10쌍 내외의 제비가 꾸준히 번식을 하는 것을 확인 했다. 현재 둥지는 총 17둥지가 지어져 있다. 올해는 3쌍이 이미 번식을 마쳤고, 현재 4쌍이 번식 중에 있다.

▲ 받침대 설치전의 모습 . ⓒ 이경호
▲ 받침대 설치의 모습 . ⓒ 이경호

지난 26일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제비 배설물 받침대를 서남부 터미널에 설치했다.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나무로 제작을 해야겠지만, 플라스틱은 지구를 오히려 위협하는 요인이라 지양하기로 했다. 나무는 설치와 제작 절차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어 진행하지 못했다.

그나마 시민분들도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지구의 위협도 적은 종이로 제작을 완료 했다. 조립 또한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도록 설계해서 제작했다. 설치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지 않았다. 설치 중 터미널 앞에서 손님을 기다리는 택시기사님은 ‘작년보다 올해 개체수가 줄었다’며 안타까워 하셨다.  실제로 제비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적색목록에 관심종으로 등재되어 있는 국제 보호조류이다.

▲ 터미널에서 휴식중인 제비 . ⓒ 이경호

서남부 터미널에서 청소를 하시던 아주머니 들은 설치하는 것을 보고 ‘진작 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좋아 하셨다.

둥지중 1곳은 암컷 혼자 새끼를 키우고 있었다. 주변에 근무중인 관계자에게 확인해보니 매가 수컷을 채 갔다고 한다. 추측컨대 황조롱이 같은 소형 맹금류가 수컷 제비를 잡아 먹은 모양이다. 다행히 혼자서도 3마리의 새끼를 건강하게 잘 키우고 있었다.

▲ 어미가 혼자 키우고 있는 둥지의 새끼들 . ⓒ 이경호

설치 후 제비들이 어색한지 둥지로 들어가는 것을 어려워하는 듯해 받침대가 익숙해질 때까지 기다려 보기로 했다. 만약 둥지로 들어가지 못한다면 철거를 진행하기로 했다. 설치 후 10분쯤 시간이 흐르고 조심스럽게 둥지에 들어가는 제비를 확인했다. 받침대 설치 후에도 새끼들이 잘 번식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과거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제비는 대전에서는 이제 거의 볼 수 없다. 거의 유일하게 ‘대전 서남부터미널’에서 제비를 만날 수 있다. 실제 번식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노루벌, 오정동 등지에서 비행하는 제비를 종종 만나지만 아직 둥지를 찾지는 못했다. 서남부터미널에는 작년보다 개체수가 많이 줄었지만 제비 배설물 받침대 설치를 기점으로 서남부터미널 인근 주택가에도 제비 서식도 조사를 통해 기록해 받침대를 설치할 예정이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서남부터미널과 대전시 등과 협의하여 제비 서식처라는 작은 푯말 등도 설치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서남부터미널이 제비의 중요서식처로 보호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조류 학계에서도 제비가 곳 멸종위기종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제비의 서식처는 이제 그만큼 중요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전환경운동연합 (042-331-3700)으로 전화 신청하신 분들께 10개 내외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고, 제비 둥지를 발견하신 분들의 제보도 받고 있다. 이번 한차례로 끝나는게 아니라 매년 지속하기 때문에 꾸준히 시민분들의 제보와 전화신청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