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살림 조합원은 물품을 이용하는 고객인 동시에 사업과 활동에 참여하는 주인입니다. 한살림을 이용하고 또한 만들어가는 조합원은 한살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양평지역에서 마을모임과 소모임, 대의원으로 활동하며 한살림 조합원으로서의 재미를 느끼고 있는 사람들을 만났습니다.

 

한살림, 이렇게 만났어요

박옥경 전에는 조금 먼 곳에 있던 다른 생협을 이용하다가 2014년 양평매장이 생기면서 한살림에 가입하게 되었죠. 이용하다 보니 한살림의 가치가 마음에 들어 조합원 활동까지 하고 있어요.

김성순  저는 먼저 가입한 여동생의 소개로 2008년 가입했어요. 양평으로 이사 오기 전 서울에서부터 이용했죠. 자연과 힘 모아 농사를 짓는 것이 마음에 와닿았어요.

이은숙 저도 부천에 있을 때부터 한살림을 이용했어요. 그때는 다른 생협에 주로 가고 그곳에 없는 물품만 한살림 것을 이용했는데 양평에 오면서 한살림만 이용해요. 여기는 한살림밖에 없거든요. 하하. 이용하다 보니, 물품은 크게 다르지 않더라도 그 속에 담긴 지향이 다른 것을 알게됐어요.

조경송 아이를 키우면서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시중 친환경매장을 이용했는데 사양을 보니 일반 물품과 큰 차이가 없더라고요. 아쉬움을 갖던 차에 양평매장이 생겼고, 여러 활동에 참여하면서 한살림을 더 믿게 되었어요.

 

한살림, 이런 점이 참 좋아요

김성순 요새 대형마트에 가면 계절을 모르는 수입과일이 많잖아요. 한살림에는 제철이 있어 좋아요. 요새는 유자, 참다래가 나와 계절을 알게 해줘요. 인위적인 것을 최대한 덜어낸 느낌이랄까요?

박옥경 문제가 발생할 때 그 배경과 이 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조합원과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면, ‘이런 곳도 있구나’ 싶어요. 재래닭유정란 사태 때도 그랬어요. 일반 대기업 유정란에서 살충제가 나왔다 면 그냥 감추기에 급급했겠죠. 저희도 불매 운동 외에는 답이 없을 것 같고요. 그런데 한살림은 재래닭유정란 사태가 터졌을 때 발생 이유를 설명해줘서 믿음이 갔어요. 피해를 보았던 생산자님도 그냥 내치는 것이 아니라 한살림 생산자로 계속 함께하고 있잖아요. 그게 한살림의 힘이겠죠.

이은숙 조합원 입장에서 이의제기하고 대안을 제안하면 그것을 묵과하지 않고 경 청하는 것도 협동조합으로서의 큰 장점이죠. 이번에 양평매장에서 시범적으로 시작하는 낱개판매(벌크)매장이 대표적이에요. 재활용 쓰레기 대란에 온 나라가 떠들썩했음에도 실제로 바뀐 것은 많지 않은 것 같거든요. 그런데 한살림은 토론회를 통해 조합원들의 의견을 듣고 실천으로까지 이어졌죠. 그 문제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목소리를 내 온 조합원으로서 참 뿌듯해요.

조경송 한살림이 조합원 의견을 잘 듣 지 않는다고 하는 것은 참여하는 방법을 잘 몰라서 하는 이야기 같아요. 작게는 물 품을 개선하고 생산지를 점검하는 일부터, 크게는 신사업을 만드는 일까지. 막상 활동 을 해보면 한살림은 결국 조합원이 만드는 곳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거든요.

 

한살림, 아쉬운 점은 함께 고민해요

김성순 한살림물품은 참 좋은데 소포장이 많아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있는 점이 불만이에요. 저희 마을모임에서는 요새 플라스틱 없이 살아보는 생활실천을 하고 있거든요. 편리함을 추구하는 세태가 한살림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답답해요.

박옥경 한살림이 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아요. 대형마트에만 있을 법한 즉석밥이나 볶음밥 등 간편식이 많이 나오고 있는 것도 집밥을 우선하는 한살림의 예전 기조와는 달라진 것 같아요. 양평매장이 확장 이전했는데 저희끼리는 한살림매장이 이렇게 클 필요가 있느냐는 말도 해요. 가격인하 행사를 많이 하는 것에 대해서도 말이 많고요. 다양한 조합원들의 요구를 어디까지 맞춰야 할지 고려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이은숙 어떤 방향으로든 변해갈 텐데 결국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의 문제라고 봐요. 지금껏 한살림의 선택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고 생각해요. 토론회 때도 나온 이야기였지만 플라스틱 소포장은 안의 물품을 더 잘 보존하고 늘어가는 1인 가구를 위해서겠죠. 즉석밥은 쌀소비를 늘리기 위함이라는 목적이 있을 것이고요.

조경송 한 매장활동가님으로부터 기획전을 통해 물품 소비가 늘면 그만큼 생산자와 농업이 살아나니 그것도 하나의 운동이 아니냐는 말씀을 들은 적이 있는데 저도 그에 공감해요. 매장이 커진 만큼 비조합원들에게 한살림이 어떤 곳인지 알리는 역할도 했다고 보고요. 중요한 것은 여러 고민이 모여 한살림을 더 나은 선택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방향 그 자체가 아닐까 해요.

 

한살림, 이렇게 좋으니 함께해요

김성순 한살림을 하면서 가장 좋은 것은 많이 배우고 그만큼 제가 성장했다는 거예요. 장 담그기, 막걸리 만들기 등 배우고 싶은 것들은 한살림에서 많이 지원해줬고, 배운 만큼 나누고 있어요. 부모교육으로 GMO 강좌도 열었고, 내년에는 소규모로 장담그기 일일강좌도 열 계획이에요. 내 손으로 장을 담그며 가정에서부터 Non-GMO 운동을 하는 셈이니 그 효과가 머리로만 배우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죠.

조경송 요새 고민은 매장을 거점으로 한 조합원활동을 어떻게 만들어갈지예요. 혼자서는 선뜻 시도하기 어렵지만 모이면 가능한 활동을 만들어보려 해요. 어느 활 동이든 일단 참여를 하는 순간, 다른 조합원과 소통하며 먹거리 문제, 환경오염 문제 등에 대해 자연스레 알아가게 되는 것 같아요. 아는 것이 늘어난 만큼 실천하게 되고요. 일단 모이고 함께 성장하면 한살림운 동도 그만큼 자라는 것이 아닐까요.

이은숙 요즘 사람들이라고 모두 개인주의를 지향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해요. 《마을의 귀환이라는 책을 읽으며 공감했던 부분인데, 누구에게나 다른 이들과 함께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러한 마음이 잘 연결되면 마을이 되고 공동체가 되는 것이겠죠. 마을모임이나 소모임이 마중물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최근 마을모임에서 거북이 코에 빨대가 낀 영상을 함께 보며 “플라스틱 빨대는 절대 쓰지 말고 텀블러를 가지고 다니자”는 다짐을 나 눴어요. 혼자서 그 영상을 봤으면 눈살을 찌푸리고 넘어갔을 수도 있지만 마음을 공유하니 실천으로 이어지게 되었죠. 그러한 순환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한살림의 역할 아닐까요.

박옥경 좋은 먹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나에게만 좋은 것이 아니라 그 과정에서 농업을 살리고 생명을 지킬 수 있다고 생각하면 한살림하는 사람으로서 자긍심이 생기죠. 나밖에 모르던 사람이 공동체를 알게 되고 이웃이든 농촌이든 자연이든 ‘네가 살아야 나도 사는 것이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니 얼마나 의미 있는 변화인가요. 한살림에서 함께하며 그런 존재가 되자고 이야기하고 싶어요.

 

이야기를 나누면서 한살림 조합원 중에는 ‘나’를 위해 물품이용만 하는 사람도, 기초 조직모임을 통해 ‘너’를 만나는 사람도, ‘우 리’를 생각하며 농업과 환경의 미래를 고민하고 실천하는 사람도 함께 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