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4시, 한적한 지하철에 올라탔다. 전동차 한쪽 벽에 몸을 기대고 귀에 이어폰을 꽂았다. 다음 역에서 아저씨 한 분이 탔다. 작은 가방을 옆으로 멘 아저씨에게 자연스레 시선이 갔다. 다시 전동차가 출발하는데 아저씨가 나에게 입모양으로 무언가 말하기 시작했다. ‘응? 뭐라고 하시는 거지?’ 음악 소리 때문에 전혀 들리지 않아 이어폰을 뺐다. 무슨 말씀이냐고 되물으려는 찰나 서 있던 아저씨 셔츠에 묻은 피가 눈에 들어왔다. “앗, 아저씨! 피요! 피, 피, 피!” 놀란 나와 달리 아저씨는 당황한 기색 하나 없이 가방에서 거즈를 꺼내 한쪽 끝을 잡아달라고 부탁했다. 그제야 정신 차린 나는 아저씨의 팔에서 흘러나오는 피를 거즈로 누르고 붕대를 감아드리며 괜찮으신지 물었다. 아저씨는 늘 있는 일이라는 듯 괜찮다며 고개를 끄덕이셨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 김제선의 희망편지와 번갈아서 발송되며, 한 달에 한 번 정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main
오후 4시, 한적한 지하철에 올라탔다. 전동차 한쪽 벽에 몸을 기대고 귀에 이어폰을 꽂았다. 다음 역에서 아저씨 한 분이 탔다. 작은 가방을 옆으로 멘 아저씨에게 자연스레 시선이 갔다. 다시 전동차가 출발하는데 아저씨가 나에게 입모양으로 무언가 말하기 시작했다.

‘응? 뭐라고 하시는 거지?’
음악 소리 때문에 전혀 들리지 않아 이어폰을 뺐다. 무슨 말씀이냐고 되물으려는 찰나 서 있던 아저씨 셔츠에 묻은 피가 눈에 들어왔다.
“앗, 아저씨! 피요! 피, 피, 피!”
놀란 나와 달리 아저씨는 당황한 기색 하나 없이 가방에서 거즈를 꺼내 한쪽 끝을 잡아달라고 부탁했다. 그제야 정신 차린 나는 아저씨의 팔에서 흘러나오는 피를 거즈로 누르고 붕대를 감아드리며 괜찮으신지 물었다. 아저씨는 늘 있는 일이라는 듯 괜찮다며 고개를 끄덕이셨다.

바닥에 흘린 피를 닦고 주위 사람들에게 자리 양보를 부탁하려고 고개를 들었다. 이때 이 광경을 지켜보던 한 아주머니가 사람들을 향해 외쳤다.
“아이고 참나, 사람들이 인정머리 하나 없이 아픈 사람을 보고 일어날 생각들이 없네!”
아주머니는 앉아있는 사람들에게 짜증 섞인 말 폭탄을 거침없이 투하했다. ‘이게 아닌데’ 바닥을 마저 닦으며 상황이 이상하게 흘러감을 느꼈다.

그때, 경로석의 어르신 한 분이 아저씨에게 자리를 양보하려고 일어나던 중 아주머니의 말에 발끈하며 맞받아쳤다.
“당신이 뭐라고 말을 그리 함부로 하는 거요?”
아주머니와 어르신의 말싸움은 그렇게 시작됐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개를 푹 숙이고 스마트폰을 보기 시작했다. 싸움에 끼고 싶지 않다는 신호였다. 전동차가 다음 역에 멈췄고 어르신은 아직 분이 풀리지 않는다는 듯 씩씩대며 내렸다. 그 어르신이 떠난 자리에는 붕대를 감은 아저씨가 앉았다. 씁쓸하고 찜찜한 기분이 들었지만, 전동차 안은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다시 조용해졌다.

짧고도 긴박했던 전동차 안의 그 장면은 아직도 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그리고 끊임없이 질문이 떠올랐다. 아주머니는 왜 화를 내셨을까? 그 상황에서 필요한 것은 간단했다. 자리에 앉아있던 서른 여 명 중 단 한 사람이라도 일어나 자리를 양보하면 되는 것이었다. 아주머니도 화를 내는 대신 도움을 청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화난 이유가 분명 있을 터. 잠시 그 아주머니의 입장에 ‘빙의’해보기로 했다. 과거의 그는 힘든 사람을 돕기 좋아하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선한 의지와 더 나은 사회를 향한 희망을 품고 좋은 일을 시도했을 때 타인에게 무시와 상처를 받았을지도 모른다. 그 과정에서 그의 선한 의지와 노력은 사라지고, 세상 사람들을 향한 ‘화’만 남았을지도 모른다. 물론 나만의 허무맹랑한 생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상상의 끝에서 나는 하나의 목표를 찾을 수 있었다. 그 아주머니처럼 ‘화만 내는 시민’이 더는 생기지 않도록 뭐라도 해봐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리고 사람에게 실망하기보다 희망부터 발견하고, 상대를 단정 짓기보다 나부터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찾아서 해보기로 했다.

내 일터 희망제작소. 나를 비롯한 많은 연구원은 ‘모든 시민이 변화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민이 일상에서 적용 가능한 많은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시민이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변화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나 역시 많은 불만과 짜증을 마주할 것이다. 좌절의 순간도 분명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력감에 무너지지 않고 한 걸음 한 걸음 조금씩이라도 나아감을 축하하며 나 자신과 동료들을 격려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꽤 오래 걸릴지도 모르는 변화의 여정을 즐기기로 했다.

– 글 : 박다겸 | 커뮤니케이션센터 연구원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