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후에나 다시 온다는 10일간의 긴 연휴가 끝났다.
이 시기를 작년부터 손꼽아 기다리신 엄마와 함께 대만을 다녀왔다. 대만은 지하철이 잘 정비되어 있고 시민들이 친절해, 최근 한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여행지이다. 오랜 휴식을 끝내고 다시 출근하는 길, 다시 대만이 떠오른 건 여행의 즐거움 때문이 아니라 ‘지하철’에서 느낀 사람 온기 때문이다.
1997년도에 처음 만들어졌다는 대만의 지하철. 5개 노선으로 서울보다 노선 수는 적지만, 우리보다 사회적 약자를 더 많이 배려하고 있는 듯했다. 노인, 장애인, 임산부, 어린아이 등을 위한 좌석이 배려석(Priority Seat)으로 일반석과 같은 구역에 마련돼 있었고, 아이를 동반하는 가족을 위한 자리도 배치돼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태도는 더욱 놀랍다. 배려석을 항상 비워두는 것은 물론이고 지하철에서는 물도 마시지 않으며, 플랫폼에서 줄을 서는 것도 내리는 사람의 동선과 섞이지 않도록 잘 정돈돼 있었다. 지하철을 탈 때마다 하나씩 발견하는 따뜻함이 좋았다.
반면 우리는 어떤가. 배려석은 있지만 눈에 띄게 별도로 나뉘어 있어 민망함을 감수해야 앉을 수 있고, 서로 먼저 타겠다며 밀치다가 얼굴 붉히기 다반사인 이들을 보면 눈살이 찌푸려진다. 사실 이런 불편한 환경보다 나를 더 힘들게 하는 것은 벽면을 빼곡히 채우고 있는 멀미 나는 광고들이다.
‘광고가 다 그렇지’하고 넘어가기에는 우리 사회의 부조리한 현실을 떠올리게 한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광고가 대표적이다. 미취업 청년에게 ‘꿀 알바’로 알려지던 임상시험은 이제 특별한 소득이 없는 어르신들까지 경쟁적으로 참여하게 만들고 있다. 돈이면 다 해결된다고 믿는 안전불감증이 생각난다. 지자체의 선생님 모집 광고도 마음을 무겁게 한다. 지방을 기피하는 교대생을 유치하기 위한 필사적인 몸부림이라는 것은 알지만, 임용 기회가 적기 때문에 기간제 교사를 정교사로 받아줄 수 없다고 외치는 목소리와 모순되는 상황이다. 공익광고는 어떤가. 한쪽은 도박이 질병이라 말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복권이 행복의 씨앗이라고 한다. 복권 구매에 중독되면 도박과 같은 폐해가 일어나는 현실을 무시한 처사다. 눈 가리고 아웅 아닌가.
우리는 그 작은 전동차 안에서 끊임없이 돈으로 사람을 구분, 평가하고 있다. 그 어디보다 사람이 많은 곳에서 사람의 온기를 느낄 수 없다는 것은 참 씁쓸하다. 다름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가 함께 앉아가는 대만의 지하철은 사실 그리 낯선 풍경이 아니다. 불과 몇 해 전 우리의 모습이었다. 지하철 선로에 추락한 노인을 구조한 청년과 장애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는 지하철을 우리는 매일 타고 다녔다.
돈이 사람을 집어삼킬 수 없다는 믿음과 급한 일상 속에서도 주위 사람을 둘러볼 수 있는 여유 한 스푼 남겨놓길 바라는 건 큰 욕심일까. 작은 배려를 통해 종일 마음이 훈훈하던 때가 그리워지는 출근길이다.
– 글 : 오지은 | 지역혁신센터 선임연구원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