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원문(영어) 보기 | See original version(EN)
The United States has agreed to “substantially increase” the sale of advanced weaponry and military technologies to South Korea as a result of recent discussions between Presidents Donald Trump and Moon Jae-in about their joint approach to countering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The first major exports under this new initiative are likely to be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SR) tools for identifying and destroying military targets and installations in case of war with North Korea, according to a Newstapa review of U.S. government statements and defense contractor websites.
Missile defense systems will also figure large in any sales. Kim Jong-dae, a lawmaker with the Justice Party, recently asserted that “it’s very likely” that the United States could push Seoul to buy its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that has been so controversial in Korea, as well as Patriot PAC-3 and SM-6 missile interceptors. The THAAD system and the Patriot batteries are made by Lockheed Martin, and the SM-6 by Raytheon.
ISR has been a major emphasis for South Korea. It recently earmarked $10.6 billion for procurement and R&D as “part of a program to improve its own ISR capabilities,” and in two years will launch the first of five military satellites, according to the US military newspaper of record Defense News. ISR technologies are also important for the upgraded communications systems that will be necessary if and when South Korea regains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its military.
One possible option for South Korea, observers say, could be the “Avenger” drone previously known as the “Predator.” This unmanned aerial vehicle (UAV) made by General Atomics Aeronautical Systems has been used extensively by the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the US Air Force in Afghanistan, Pakistan and Syria. The new version can carry 3,000 pounds of sensors and bombs and is considered one of the world’s most deadly weapons.
The Avenger would augment the fleet of four RQ-4 “Global Hawk” high-altitude surveillance drones South Korea purchased from Northrop Grumman in 2015 for delivery in 2018. The US corporation, which is the second largest US military contractor, has close ties to Samsung Corporation and Korea Aerospace Industries. General Atomics said in August it is engaged in talks to sell the Avenger to a foreign buyer that was later identified as India by Defense News.
The export of the Avenger drone to South Korea would require a change in US policy. Under the Obama administration, the Global Hawks sold to Seoul could only be used for reconnaissance, and were not armed, according to a U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 prepared for US lawmakers last May. As a result, the Korea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spending nearly $450 million to “indigenously develop” a UAV designed for armed combat that it hopes to be ready by 2021, CRS said.
Few details have been provided by the White House and the Pentagon on the future weapons and technologies to be sold to South Korea, and none of the sales are expected to happen quickly.
“Foreign military sales involve drawn-out processes that can take years,” Real Clear Defense, a military publication, noted in September. “They typically entail complex negotiations not only between nations but within the U.S. government, with the Pentagon, the State Department and Congress all playing central roles.”
The US arms sales to South Korea will be overseen by US Army Lieutenant General Charles Hooper. He is the Director of the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which is charged with overseeing Pentagon financial and technical assistance to US military exporters.
In a speech Tuesday in Washington, Hooper told hundreds of contractors and foreign military officers that the Pentagon was prepared to listen as much as possible to South Korea and other military partners “to make sure we understand their requirements before we move forward.”
His agency, Hooper said, is committed to making sales move as quickly as possible to “reduce the flash-to-bang time” and “get weapons to partners as quickly as we can.” He added: “we’re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 He spoke to the annual military convention and exhibition sponsored by the Association of the US Army, which was attended by all major US companies as well as about 20 arms makers from South Korea.
Hooper declined comment on specific arms sales. But last month, he told another conference that the Pentagon is already “working very closely with our South Korean allies to assess their immediate requirements” and “address our mutual interests.” He has plenty of experience: he spent the previous three years as US defense attache to Egypt, where US exports have risen 46 percent since 2011 to $238 million in 2016, or 16 percent of Egypt’s total.
South Korea’s 2016 imports of $1.6 billion made it the world’s 6th largest purchaser of arms, behind Saudi Arabia, Algeria, India, Iraq and Egypt, according to the SIPRI Arms Transfers Database. Most of South Korea’s weapons come from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is “a major purchaser of U.S. weapon systems,” and is “regularly among the top customers for Foreign Military Sales (FMS),” the congressional research group recently stated. From 2008 to 2016, it said, Korean contracts under FMS reached $15.7 billion and commercial acquisitions $6.9 billion, for a total of $22.5 billion in acquisitions over that time.
According to CRS, 75 percent of South Korea’s imports were purchased from U.S. military corporations, including Northrop Grumman, Lockheed Martin, Raytheon and Boeing (which recently won a five-year contract to sustain South Korea’s fleet of F-15s). They make up four of the world’s top five arms companies.
In addition,“European and Israeli defense companies also compete for contracts; Korea is an attractive market because of its rising defense expenditures,” CRS noted. US competitors include the EU’s Airbus, which recently beat out Boeing for a $1.3 billion tanker contract with the South Korean Air Force.
Much of the “complex negotiations” will involve technology transfers. Key Korean weapons systems, such as the KF-X fighter jet built by Korea Aerospace Industries with assistance from Lockheed Martin, rely on the U.S. for core technologies, particularly advanced radar that serve as an aircraft’s “eyes and ears.”
As recently as last year, however, the US government and Pentagon have denied South Korean requests for the transfer of some of these technologies. This was particularly true for missiles, which South Korea has limited since it joined the Missile Technology Control Regime in 2001.
At the time, “the US military absolutely did not want to see South Korea have their own independent long-range strike capability,” military analyst John Pike wrote in his popular military blog, GlobalSecurity.org.
But in 2012, the US and South Korea compromised, allowing South Korea to increase its missile range from 300 to 800 kilometers. But recently, Washington “rebuffed” the Korean request for the “long-range precision air-to-ground missile” called JASSM, the Guardian reports. It is made by Lockheed Martin.
The US limits on missiles and technology sales are now being extended as a result of the heightening tensions with Pyongyang over its nuclear and ICBM tests. “I am allowing Japan & South Korea to buy a substantially increased amount of highly sophisticated military equipment from the United States,” Trump tweeted a few days after North Korea exploded its sixth and largest atomic bomb on September 3.
Yet even before Trump’s announcement, Moon’s government was pushing to revise its missile guidelines to double the maximum weight of its warheads to 1,000 kilograms.
That will “improve its ability to destroy hardened targets,” Bruce Klingner, a former CIA deputy division chief for Korea who now heads up the Northeast Asia program for the extreme-right Heritage Foundation, told the military publication Defense One. Doing so, he said, “augments allied deterrence and defense capabilities” and “furthers the trend of South Korea assuming a larger responsibility for its defense.”
The desire for Seoul to take a larger role in military matters is reflected in President Moon’s latest drive to accelerate the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from the US military.
“It’s only when we regai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f our military that North Korea will fear us more and the South Korean public will trust the military more,” Moon declared on September 28. That, in turn, will require an expansion of South Korea’s satellite communications, defense analysts point out. Taking over OPCON “requires significant across the board investment in communications enablers,” Australian security expert Dr. Euan Graham told Defense News.
That could open a lucrative, new market for US intelligence integrators such as CACI International. It is one of five contractors that dominate the US spying and surveillance business and has extensive operations at US bases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huge new base at Camp Humphries near Pyeongtaek. Employment notices on the CACI website show the company is currently hiring in Korea for work at this base, and looking specifically for classified telecommunications network operators.
Korean purchases of high-tech items such as drones will also strengthen US-South Korean industrial cooperation. Under the ROK’s 2015 drone deal with Northrop Grumman, for example, South Korea purchased two ground stations and supporting equipment so Korean operators can “control and maintain the system,” the company said. Because that involves extensive training, it deepens US-Korean cooperation in intelligence operations and further tightens the military alliance.
One of the most extensive training programs is run by Lockheed Martin, which manufactures for South Korea the F-16 fighter jet, the Aegis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s also deployed by Japan, and the T-50 training aircraft jointly marketed around the world with KAI.
Under a program called “ROKStar,” it provides millions of dollars in R&D funding and mentoring to South Korea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technologies in line with Lockheed’s “core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company website. Among these are signals processing technologies used by the US National Security Agency to monitor global communications. In 2016, ROKStar awards went to researchers at Korea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Ulsan National Institute for Science and Technology.
Northrop Grumman, which makes many of the advanced radar systems used in US missile programs, is deeply rooted in Korea through its local CEO, Brian Kim, a former executive with Boeing Defense, Space and Security (where he oversaw sales of AH-64 Apache helicopters and small bombs). Kim, according to his official biography, spent over 20 years working in the US for KAI and its founding partners Samsung Aerospace and Hughes Aircraft Company, where he presided over aircraft programs such as the KAI T-50.
Boeing, of course, is well represented by Mark Lippert, the last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In April, he joined the company in Washington as its vice president for international affairs, and quickly threw himself into Korean affairs. He was an honored guest in June when President Moon spoke to the US Chamber of Commerce just before his summit with Trump, and has been spotted by Newstapa at every major Korea-related event since then at the influential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downtown Washington.
As tensions in Korea have increased this year, stock values for the companies doing business in Korea have risen sharply. Boeing’s shares this year have risen around 60 percent since Trump moved into the White House in January. Raytheon is up 25 percent, while both Lockheed Martin and Northrop Grumman saw their stock rise by 20 percent (that’s about double the 12.4 percent rate for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But even the relatively minor cutbacks in the domestic defense budget over the past year has led US defense contractors to focus more on boosting exports. “One area where we expect the majority of our growth potential to come from in the years ahead is our international customers,” Marillyn Hewson, the CEO of Lockheed Martin, said at a “media day” last March. South Korea is central to their plans.
최근 미국은 한국에 대한 선진 무기 수출 및 군사기술의 이전을 “상당히 증가시키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이 북핵 문제 대응방안을 논의한 뒤 나온 결과물이다.
뉴스타파가 미국 정부 성명 및 군수업체 웹사이트를 검토한 결과,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이 한국에 대규모로 수출할 품목은 북한과의 전쟁에서 군사시설과 공격 목표를 찾아내서 파괴할 수 있는 정보·감시·정찰(ISR)용 무기일 가능성이 높다.
미사일 방어 시스템 역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미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패트리엇(PAC-3), 이지스함 탑재용 요격미사일(SM-6) 등의 한국 판매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사드 시스템과 패트리엇 포대는 록히드 마틴에서, 이지스함 탑재용 요격미사일은 레이시온(Raytheon)에서 제조한다.
정보·감시·정찰(ISR)용 미국산 무기 수입 늘어날 것으로 전망
▲록히드 마틴이 2017 미국 워싱턴 육군 정기회의 및 박람회에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시스템을 홍보하고 있다.
정보·감시·정찰(ISR)은 그동안 한국이 중요하게 여겨온 분야다. 미국의 권위있는 군사전문지 디펜스 뉴스(Defense News)에 따르면, 최근 한국 정부는 “자체적인 감시 및 정찰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물자조달 및 연구개발 예산으로 106억 달러(약 12조 4,780억원)를 배정하고, 2년 내에 군사용 정찰위성 5기중 1기를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국이 전시작전권을 회수하게 될 경우 필요한 업그레이드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도 정보·감시·정찰(ISR) 기술은 중요하다.
일부 관측자들은 한국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으로 기존에 ‘프레데터(Predator)’로 알려졌던 ‘어벤저(Avenger)’ 드론을 꼽았다.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General Atomics Aeronautical Systems)이 만든 이 무인항공기는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미 공군이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및 시리아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사용한 바 있다. 최신 어벤저 드론은 센서와 폭탄을 1.36톤까지 적재할 수 있으며, 세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무기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제너럴 아토믹스의 ‘어벤저 드론’
어벤저 드론은 한국이 2015년도에 구매하여 2018년 도입을 앞둔 노스럽 그러먼(Northrop Grumman)사의 RQ-4 ‘글로벌 호크’ 4기로 이루어진 고고도 무인정찰기 편대를 보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스럽 그러먼은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군수업체로, 삼성 및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제너럴 아토믹스는 지난 8월 외국 구매자와 어벤저 드론 판매 협상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는데, 디펜스 뉴스는 이 외국 구매자가 인도 정부라고 보도했다.
한국에 어벤저 드론을 수출하려면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월 미국 의회조사국이 미국 의원들을 위해 준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오바마 정부에서 한국 정부에 수출한 글로벌 호크는 오로지 정찰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무기가 탑재되지 않은 것이었다. 미국 의회조사국은 이 때문에 한국 국방부가 2021년 완성을 목표로 무장전투에 투입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자체 개발하는 데 거의 4억 5천만 달러(우리돈 약 5,106억원)를 지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과 미국 국방부는 아직까지 향후 한국에 수출할 무기와 기술에 대한 세부사항은 거의 공개하지 않고 있다. 한국에 대한 미국의 무기수출도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질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미국의 안보전문매체 ‘리얼클리어디펜스(Real Clear Defense)’는 지난 9월 “미국 정부의 대외군사판매(FMS)는 몇 년이 걸릴 수도 있는 오랜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매체는 군사장비 수출 절차는 “일반적으로 두 국가 간 합의도 필요하지만, 미국 정부 내에서도 국방부, 국무부, 그리고 미 의회를 중심으로 한 복잡한 협상과정을 거친다”고 덧붙였다.
후퍼 중장, “무기 빨리 제공하기 위해 전력 다할 것”
한국에 대한 미국의 무기수출은 미 육군 찰스 후퍼 중장이 감독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미국 군수품 수출업체들에 대한 미국 국방부의 재정적, 기술적 지원을 책임지고 있는 국방안보협력국(DSCA) 국장을 맡고 있다.
워싱턴 현지시간 10월 10일, 후퍼 중장은 2017 미 육군 정기회의 및 박람회(2017 AUSA Annual Meeting & Exposition)에 모인 수백 명의 군수업체 관계자들과 외국 군 관계자들에게 미국 국방부가 한국을 포함한 다른 군사적 파트너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최대한 많이 들을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후퍼 중장은 국방안보협력국이 “파트너들에게 무기를 가능한 한 빨리 제공하기 위해” 무기 수출을 서두르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는 현재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환경에 놓여 있다”고 덧붙였다. 그가 연설한 곳은 미 육군이 매년 주최하는 미 육군 정기회의 및 박람회로, 미국의 모든 주요 군수업체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20여 개 군수업체가 참여했다.
▲미 육군 정기회의 및 박람회에 참여한 한화의 부스
후퍼 중장은 구체적인 무기 수출에 대한 언급은 피했다. 그러나 지난달 그는 다른 회의에서 미국 국방부가 이미 “동맹국인 한국이 당면한 상황을 평가하고 우리의 공동 이익을 위해 한국과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방면에 있어 경험이 풍부하다. 지난 3년 간 그는 이집트에서 미국 국방무관으로 근무했는데, 이집트의 미국산 무기수입은 2016년 2억 3,800만 달러(우리돈 약 2,695억 원)로 2011년에 비해 46% 증가했고, 이는 이집트 총 무기수입량의 16%를 차지한다.
한국은 세계 6위 무기 수입국…다시 대목 맞은 거대 군수업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의 무기거래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2016년도에 한국은 약 16억 달러 (약 1조 8천억 원) 상당의 무기를 수입하면서 사우디아라비아, 알제리, 인도, 이라크와 이집트에 이어 세계 6위의 무기수입국으로 이름을 올렸다. 한국은 대부분의 무기를 미국에서 수입한다.
미국 의회조사국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이 “미국산 무기의 주요 구매자”이며 “대외군사판매(FMS) 고객 명단에서 상위권을 차지한다”고 언급했다. 같은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에서 2016년 사이 정부 간 대외군사판매(FMS)에 따라 한국이 맺은 무기수입 계약은 157억 달러(약 17조 8천억 원), 민간 군수업체와의 무기 조달 계약은 69억 달러(약 7조 8천억 원)로, 이 기간동안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수입하는 데 총 225억 달러(약 25조 5천억 원)를 썼다.
미국 의회조사국에 따르면, 한국이 수입한 무기의 75%는 노스럽 그러먼, 록히드 마틴, 레이시온, 그리고 보잉(Boeing) 등 미국 군수업체로부터 구매한 것이다. (보잉사는 최근 한국의 F-15 편대를 유지하기 위한 5년짜리 계약을 따냈다.) 이들 4개 업체는 모두 세계 무기시장에서 5위권 안에 든다.
▲이지스함 탑재용 요격미사일 제조업체 레이시온의 부스
미국 의회조사국은 또 “유럽과 이스라엘의 군수업체들이 계약 수주를 위해 경쟁한다. 한국은 국방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매력적인 시장이다”고 덧붙였다. 미국과 경쟁하는 업체들 중 유럽의 에어버스(Airbus)는 최근 보잉을 제치고 한국 공군으로부터 13억 달러(우리돈 약 1조 4천억원)짜리 공중급유기 계약을 따냈다.
대외군사판매 절차 중 ‘복잡한 협상’의 대부분은 기술이전에 관한 것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록히드 마틴의 도움으로 개발한 KF-X 전투기 등 한국의 주요 무기시스템의 핵심 기술은 미국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항공기의 ‘눈과 귀’에 해당하는 신형 레이더의 경우가 그렇다.
그러나 작년까지만 해도 미국 정부와 미 국방부는 이러한 기술을 이전해 달라는 한국 정부의 요청을 거절해왔다. 특히 미사일 기술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한국의 미사일 기술은 한국이 2001년 미사일 기술 통제체제에 가입하면서 제한되어 왔다.
군사분석가 존 파이크(John Pike)는 자신의 유명한 군사 관련 블로그인 ‘글로벌시큐리티(Global security)’를 통해 당시 “미군은 한국이 자체적인 장거리 타격 역량을 갖추는 것을 원치 않았다”고 적었다.
2012년에야 한미 양국은 타협을 통해 한국의 미사일 사정거리를 300킬로미터에서 800킬로미터로 늘리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미국은 최근 한국이 요청한 장거리 공대지 정밀 미사일 재즘(JASSM)의 수입에 “퇴짜를 놓았다“고 가디언이 보도했다. 재즘(JASSM)은 록히드 마틴이 제조하는 미사일이다.
미사일 수출과 기술이전에 대한 미국 측의 제한은 이제 북한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실험에 따른 긴장 고조의 결과로 느슨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지난 9월 3일 사상 최대 규모의 6차 핵실험을 한 며칠 뒤 트위터를 통해 “일본과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상당히 증가된 양의 첨단 군사장비를 구매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트럼프의 발표가 있기 전부터 한국 정부는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을 기존보다 두 배 무거운 1t으로 늘리기 위한 한-미 미사일지침 개정을 추진해 왔다.
CIA에서 한반도 문제 담당 부국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우익 싱크탱크 헤리티지 재단에서 동북아시아 프로그램을 맡고 있는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군사전문매체 ‘디펜스원(Defense One)’과의 인터뷰에서 (미사일 탄두 중량 제한이) “한국이 견고한 표적을 파괴하는 역량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를 통해 “동맹국의 억제력과 방어 역량을 증대시키고, 한국이 자국 국방에 대한 책임을 늘려가고 있는 흐름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미군으로부터 전시작전권 환수를 가속화하려는 움직임을 통해 한국이 군사문제에 있어 더욱 큰 역할을 하고자 하는 의욕을 엿볼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9월 28일 국군의 날 기념사를 통해 “우리가 전시작전권을 가져야 북한이 우리를 더 두려워하고, 국민은 군을 더 신뢰하게 될 것”이라고 공표했다. 군사분석가들은 전시작전권 환수에 따라 한국이 위성통신을 확대할 필요가 생길 것이라고 지적한다. 호주 보안전문가 유안 그레이엄 박사는 디펜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전시작전권을 갖기 위해서는 “통신체제 전반에 걸쳐 상당히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카시 인터내셔널(CACI International)과 같은 미국의 정보통합서비스 업체들에게 수익성이 높은 새로운 시장을 열어주는 기회일 수 있다. 카시 인터내셔널은 미국 첩보 및 감시 시장에서 군림하는 5개 업체 중 한 곳으로, 평택의 험프리스 미국 육군기지를 비롯한 한국의 여러 미군기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카시 인터내셔널의 웹사이트의 채용공고란에 따르면, 현재 이 업체가 평택기지에서 일할 기밀통신망 운용자를 찾고 있다.
▲미국 정보통합서비스 업체 카시 인터내셔널
한국이 드론과 같은 첨단기술 품목을 구매하는 것은 한-미 간 산업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노스럽 그러먼사는 2015년 한국 정부가 노스럽 그러먼과 체결한 드론 수입 계약에 따라 한국측이 “드론 시스템을 통제하고 유지하기 위해” 지상관제시설 2기와 부속장비를 구매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폭넓은 훈련이 수반되기 때문에, 이는 첩보활동에 있어 한-미 간 협력을 강화시키고 군사 동맹을 한층 결속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군수업체들 중 가장 광범위한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록히드 마틴이다. 이 업체는 한국의 F-16 전투기와 일본에서도 배치한 이지스 탄도유도탄방어체계, 그리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공동으로 전세계에 홍보하고 있는 T-50 초음속 고등훈련기를 제조한 곳이다.
록히드 마틴의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업체는 “ROKStar”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대학과 연구기관들을 대상으로 자사의 ‘핵심 역량’과 관계된 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비 조달 및 멘토링 명목으로 수백만 달러에 이르는 자금을 대고 있다.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전세계 통신을 감시하는 데 사용하는 신호처리기술도 이렇게 개발된 기술 중 하나다. 2016년 ROKStar 상은 고려대, 서울대, 그리고 울산과학기술원 소속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한반도 위기 고조되면서 미국 군수업체 주가 폭등
미국 미사일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신형 레이더를 대량 제조하는 노스럽 그러먼은 한국지사 CEO 브라이언 킴을 통해 한국에 깊숙히 뿌리를 내리고 있다. (브라이언 킴은 보잉 방산우주보안에서 AH-64 아파치 헬리콥터와 소형 폭탄 판매 책임자를 역임했다.) 그는 지난 20년 간 미국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삼성항공산업 및 휴스 항공기 회사(Hughes Aircraft Company) 등에서 KAI T-50과 같은 항공기 프로그램을 맡았다.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군수업체 노스럽 그러먼
물론 보잉사도 마크 리퍼트 전 주한미국대사를 내세워 주목받고 있다. 리퍼트 전 대사는 지난 4월 외국 정부 업무 담당 부사장으로 보잉사에 합류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곧 한국과의 관계에 뛰어들었다. 그는 지난 6월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직전에 미국 상공회의소에서 연설을 할 때에도 귀빈으로 참석했고, 워싱턴 시내에서 열린 CSIS(전략국제문제연구소) 포럼 이후 모든 한국 관련 주요 행사에 빠짐없이 참석한 것으로 확인된다.
올해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되면서 한국에서 사업을 하는 업체의 주식 가격이 크게 뛰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취임한 이후, 보잉사의 주가는 60% 올랐다. 레이시온의 주가는 25% 올랐고, 록히드 마틴과 노스럽 그러먼 모두 주가가 20% 올랐다. (이는 다우존스 산업주 평균지수인 12.4%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그러나 지난 한 해 동안 미국 내 국방예산이 소폭 삭감된 것마저도 미국 군수업체들이 수출량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추게 된 원인이 되었다. 록히드 마틴의 CEO인 메릴린 휴슨은 지난 3월 록히드 마틴이 주최한 미디어 데이 행사에서 “앞으로 우리의 성장 잠재력이 나올 분야 중 하나로 우리의 해외 고객들을 꼽는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의 계획에 한국이 핵심적이라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취재: 팀 셔록
번역: 임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