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쯤 전이다. 이 ‘옛날이야기’를 처음 꺼냈던 것이. 스물 네댓 살쯤, 첫 직장의 신입 시절이다. 당시 나에게는 까마득하던 40대 남자 부장, 차장들과 직장 앞 식당에서 저녁을 먹는 중이었다. 언젠가 아버지께 들은 그 이야기를 왜 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 직장 동료를 짝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상대 여성은 미모가 출중해서 인기가 많았고, 이 남자도 성격이 호방하다는 평을 들었지만, ‘특정 동물’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외모 탓인지 이성에게는 인기가 없었다. 남자는 지치지도 않고 여자를 따라다녔다. 하지만 여자는 곁을 주지 않았고, 다른 남자와 결혼하면서 직장을 그만뒀다.
‘희망다반사’는 희망제작소 연구원이 전하는 에세이입니다. 한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의 시선이 담긴 글을 나누고, 일상에서 우리 시대 희망을 찾아봅니다. 뉴스레터, 김제선의 희망편지와 번갈아서 발송되며, 한 달에 한 번 정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dabansa_170727_(02)
15년쯤 전이다. 이 ‘옛날이야기’를 처음 꺼냈던 것이. 스물 네댓 살쯤, 첫 직장의 신입 시절이다. 당시 나에게는 까마득하던 40대 남자 부장, 차장들과 직장 앞 식당에서 저녁을 먹는 중이었다. 언젠가 아버지께 들은 그 이야기를 왜 했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

직장 동료를 짝사랑하는 남자가 있었다. 상대 여성은 미모가 출중해서 인기가 많았고, 이 남자도 성격이 호방하다는 평을 들었지만, ‘특정 동물’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외모 탓인지 이성에게는 인기가 없었다. 남자는 지치지도 않고 여자를 따라다녔다. 하지만 여자는 곁을 주지 않았고, 다른 남자와 결혼하면서 직장을 그만뒀다.
얼마 후, 이 여자가 ‘소박’을 맞았다는 소식이 들렸다. ‘허니문 베이비’로 아들을 낳았는데, 아이의 외모가 그 ‘특정 동물’ 그러니까 그 ‘특정 동물을 닮은 남자’와 똑 닮았던 것이다. 아내에게 지분거리던 남자를 본 적 있던 남편은 아내를 다그쳤고, 유전자 검사도 없던 시절이라 잡아뗄 만도 하건만 여자는 결혼 며칠 전의 사건을 털어놓았다.
마지막으로 술 한 잔만 하자는 남자를 외면하기 미안해서 나갔고 어째서인지 정신을 잃었다가 깨어보니 다음날 근처 여관이었는데, 그 사실을 숨기고 결혼을 했노라는 것이다. 여자는 아들과 함께 친정으로 ‘돌려보내’졌다. 친정 식구들이 난처해 하고 있을 때, 문제의 그 남자가 등장했다. 어디서 들었는지 여자가 ‘내 아들’을 낳았다는 걸 알고 왔다면서 “제가 둘 다 책임지겠다”고 했단다. 친정 집안은 박수가 터지는 분위기였고, 그렇게 여자는 그 남자와 결혼해서 살았다고 한다.

“헐!”
이렇게 외친 사람이 15년 전 그 저녁 식사 자리에는 없었다. 부장, 차장들은 “그만하면 해피엔딩이네!” 하는 반응을 보였다. “여자 입장에서는…”이라는 나의 항변은 “아들이 자기 아버지 밑에서 자라는 게 낫지”, “아이 데리고 다른 데 시집가봐야 잘 살았겠어?”, “그래도 그 남자가 ‘싸나이’네. 다른 남자한테 시집가서 1년이나 살다 온 여자를 흔쾌히 받아주고. 멋지네!” 하는 말들에 묻혔다.

“헐!”
이번에는 이렇게 외친 사람이 있었다. 2017년, 희망제작소 연구원들과 점심을 먹는 자리였다. 한창 들리던 “돼지발정제는 당시 청춘들의 문화였고…”, “여자 몰래 혼인신고를 한 것은 낭만적인 탈선…”, “여중생에게 차례로 찾아가서 총각 딱지를 떼고…” 등등의 뉴스를 화제에 올리던 중 내가 다시 이 이야기를 끄집어냈다. ‘헐’이라 외친 이는 15년 전 내 나이와 비슷한, 20대 중반의 여성 연구원이었다. “성폭행해서 가정 파탄시킨 남자한테 시집가서 그 남자 애를 키우며 산다고요? 그게 말이 돼요? 실화 아니죠?”

15년 전 그분들을 탓하려는 건 아니다. 선량하고 성실한 분들이었다. 공감대의 범위가 성별을 넘지 못했을 뿐이다. 짝사랑하던 여자를 보내기 싫은 마음, 한 번 결혼했던 여성을 받아들이는 찜찜함, 또는 친아버지 밑에서 자라지 못 할 뻔한 아들의 처지 등에는 순식간에 공감했으면서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폭력을 당하고 인생이 송두리째 바뀌어 버린 여성에 대해서는 전혀 공감하지 못했던 것이다. 지금도 ‘친구들은 다 총각 딱지 뗐는데 혼자만 못 떼면 창피하지’, ‘혈기왕성할 때는 선생님 보고 흥분할 수 있지’ 등 남성들만의 넓디넓은 공감대 범위를 흔히 체감할 수 있다.

문제는 남성들의 공감대가 전체의 공감대로 여겨지는 사회다. 여성들이 문제 제기한 것에 대해 남성들은 ‘내가 판단해 보니 별일 아니야. 여기서 더 가면 이상한 거야’라는 말을 하면서도 뭐가 이상한지 모른다. 다행히 40년 전, 15년 전과 달리 지금은 ‘그렇지 않다’고 목소리를 내는 여성들도 많아졌다. 어지간한 압박에도 중단하지 않을 만큼 강해지기도 했다. 이렇게 목소리를 내다보면 조금씩 공감대의 균형이 잡혀가지 않을까 기대하게 된다.

만일 ‘헐’이라는 말이 15년 전에 있었으면, 내가 그 비슷한 말이라도 외칠 수 있었으면 어땠을까?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을 것이다. 무엇보다 그분들의 시각과 가치관에 도움이 됐을 것이다. 그러지 못한 게 새삼 아쉽다.

– 글 : 황세원 | 사회의제팀 선임연구원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