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뉴스타파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 과정과 결과를 미국 탐사전문기자 팀 셔록(Tim Shorrock)과 공동 취재해 보도합니다. 팀 셔록 기자는 1996년, 미국이 광주 학살을 묵인, 혹은 승인했다는 내용이 담긴 미국정부 기밀문건, 일명 ‘체로키 파일’을 공개해 광주 학살의 진실에 다가갈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 탐사기자이자, 한미 관계 전문 독립언론인입니다.
|
지난주 백악관에서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 첫 날, 도널드 트럼프 시대의 미국과 한국의 차이를 결정적으로 보여준 순간이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문제와 한미 군사동맹의 중요성에 대해 의례적인 발언을 한 직후였다.
난데없이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과 미국의 경제관계에 대해 비판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바로 지금 무역협정을 재협상하고 있습니다.” 그의 발언은 주위 사람들을 모두 놀라게 했다. 그는 대선후보 시절부터 오바마 정부가 최종 확정한 한미FTA를 ‘미국에 불공평한 협정’이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비판해왔다. 그는 문 대통령에게 “우리는 미국 노동자들에게 유리한 것을 원한다”고 말했다.
▲ 지난 6월 30일 오전, 워싱턴 백악관에서 확대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기업사냥꾼’ 출신 상무부 장관의 속보이는 훈계
더욱 충격적인 장면은 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백악관 캐비넷 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내각을 만났을 때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짧은 환영사를 한 뒤, 윌버 로스 미국 상무부 장관에게 무역에 대한 이야기를 꺼낼 것을 부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언론 카메라 앞에서 로스 장관은 문 대통령과 강 장관에게 한국의 미국 자동차 및 철강 수입 제한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불과 며칠 전 비슷한 논조의 발언으로 독일 정부와의 관계를 소원하게 했던 로스 장관은 이날도 외국 제품에 대한 한국의 행정 ‘규칙 제정’이 제조업 같은 분야에서 ‘미국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접근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북한 문제나 북한과의 긴장 관계를 해소하려는 문 대통령의 의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문 대통령이 이에 대해 답변을 시작했으나, CNN은 80살인 로스 장관의 발언을 마지막으로 보도를 마무리했다.
AP통신은 “가까운 동맹국 간 회의에서 보기 드문 우월감의 표출로 끝이 났다”고 결론을 내렸다. 로스 장관의 발언은 의전 규칙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기도 하다. 과거 미 행정부에서는 국무부 장관이 주로 외교 정책을 대변해왔다. 그러나 과거 엑슨모빌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회담에서 철저히 배제됐다. 지난주 여러 언론매체는 틸러슨 장관이 백악관의 대우에 크게 분노했다고 보도했다.
한미 간 대립이 대부분 그렇듯, 이 이야기에는 양국 언론이 놓친 숨겨진 이면이 있었다.
부산에서 노동변호사로 일한 문 대통령도 경험으로 알고 있겠지만, 로스 장관은 1990년대 한국 IMF 위기 발생 당시 몰려든 약탈적 투자자들의 물결을 이끈 뉴욕 자본가다. 당시 수많은 한국인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을 때, 외국계 기업들과 사모펀드들은 부도난 한국 기업들을 사고 팔면서 짭짤한 수익을 거뒀다. 로스 장관의 경우에는 철강 제조업체로 재미를 봤다.
나는 1999년에 로스 장관이 파산한 한라그룹의 파업을 진압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고 보도한 적이 있다. 로스 장관은 당시 김대중 정부로부터 IMF 위기 국면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상을 받은 반면, 그의 개입으로 희생자가 된 파업 참가자들에게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당시 한 한국경제학자(한성대 교수였던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을 지칭-역자 주)는 2006년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로스가 “취약한 기업들로부터 엄청난 이득을 취한 사기꾼이라는 평판을 얻고” 한국을 떠났다고 말했다. 물론 한국은 그 후 경제를 회복하여 현재는 세계 12위의 경제대국으로 이름을 올렸다.
(백악관 캐비넷 룸에서 있었던-역자 주) 로스 장관의 불평을 통해 한 가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한국 경제에 변화를 강요하는 오랜 아젠다를 밀어붙이면서, 로스 장관은 마치 트럼프 일가가 그랬던 것처럼 자신의 편협한 관심과 경제적 이익을 위해 행동해왔다. 미국 외교정책은 한 부자의 개인적 이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한미 동맹과 양국의 공동 이익에 대한 온갖 미사여구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의 대통령이 2017년 확연한 갈림길 앞에 서 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양측 모두 만족한 동상이몽?
문 대통령의 이번 방미 목적은 한미 군사동맹 강화 및 대북 공동목표 모색이라고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방미 일정 첫 이틀 동안 한국전쟁 추모식 등에 참석하고 한국전쟁 당시 자신의 부모님이 북한에서 탈출할 수 있게 도왔던 미군에 감사하는 등 정서적으로 접근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정상회담 전에 현재 환경 평가를 이유로 미뤄지고 있는 논란 많은 사드 배치를 궁극적으로는 한국 정부가 승인할 것임을 시사했다. 문 대통령도 목요일에 미 의회 의원들과 공화당 지도부와 만나 이 점을 재차 확인했다.
이러한 행동의 결과로 문 대통령은 자신이 원한 것을 많이 얻었다. 정상회담 공동 성명에 따르면, 양 정상은 “올바른 여건 하에서” 북한과 대화의 문을 열어두는 데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주의적 사안을 포함한 문제들에 대한 남북간 대화를 재개하려는 문 대통령의 열망을 지지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반도의 평화 통일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대한민국의 “주도적 역할”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중국 문제에 있어서는 자신의 일방적인 접근법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시작부터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이 워싱턴에 도착하기 하루 전, 미 재무부는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으로 북한의 자금세탁을 도운 중국 은행과 중국인들에 대한 제재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나 타이완에 대한 대규모 미국산 무기 수출과 함께 이뤄진 그의 지시는 “중국뿐만 아니라 문 대통령에 대한 경고이며, 외교를 통한 압박을 강조한 것”으로 널리 해석됐다고 뉴욕타임즈가 논평했다.
같은 날 양국 간 불화를 보여준 또다른 사례는 맥마스터 미 국가안보보좌관이 트럼프 정부가 북한에 대한 군사적 조치 목록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힌 것이다. 그는 군수업체들로부터 많은 후원을 받는 민주당 계열 싱크탱크인 CNAS(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신미국안보센터)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정권에 더욱 큰 압박을 가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있다”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군사적 관계 강화가 어떻게 사업상 도움이 되는지 강조했다. 그는 한국이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많이 주문한다. 록히드 마틴사의 F-35 전투기를 사고, 다른 군사장비도 전보다 훨씬 많이 사가고 있으니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록히드 마틴이 사드 시스템을 만든다는 것은 언급하지 않았다.)
CSIS 연설은 워싱턴 외교안보 전문가들의 ‘승인 도장’
문 대통령이 한국의 무역관행에 대한 로스 장관의 훈계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적 공세를 문 대통령과 그의 방문단이 좋게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임은 명백하다. 문 대통령은 서울로 귀국하기 직전인 토요일에 한국 기자들에게 한미 FTA 재협상에 대한 어떠한 논의도 자신이 백악관과 “합의한 내용에는 없다”고 밝혔다.
이러한 마찰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은 특히 북한에 대한 자신의 두 갈래 접근을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해 준 점과 양측 모두 대북 제재와 대화를 강조한 점 등 이번 회담 결과에 대단히 만족한 것으로 보였다. 문 대통령은 귀국 직전 토요일에 열린 동포간담회에서 “한반도 평화 통일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대한민국의 주도적인 역할과 남북 대화 재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를 얻은 것은 매우 중요한 성과였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 관계자와 관찰자들 역시 정상회담 결과에 만족했다. 문 대통령이 CSIS(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전략국제연구센터)에서 연설을 한 금요일 저녁에 CSIS의 빅터 차 선임고문은 “모두가 엉망이 되리라 전망했지만, 반대로 모든 것이 좋게 흘러갔다”고 뉴스타파에 말했다.
사드에 대한 한국 정부의 환경 평가가 향후 한미 동맹에 문제가 될 것이냐는 질문에, 차 선임고문은 강 장관이 지난 6월 26일 서울에서 열린 CSIS 포럼에서 한국이 사드 배치 결정을 “취소,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명백히’ 밝힌 것에 안심했다고 밝혔다. 차 선임고문은 강 장관의 발언이 “매우 중요한 발언이었고, 상황을 개선했다”고 지적했다(그는 자신이 차기 주한미대사로 거론되는 것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어쨌거나 문 대통령의 CSIS 연설은 문 대통령에 대한 워싱턴 외교안보 전문가들의 일종의 승인 도장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문 대통령의 연설을 듣기 위해 앉은 청중들 중 앞줄에는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외교관들과 국가안보 관계자들이 앉아 있었다. 콜린 파월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등 전직 국무부 장관 두 명, 콜린 파월의 부장관이자 국방부 관료였던 리처드 아미티지, 전직 국방부장관인 윌리엄 코헨, 그리고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의장을 지내고 오랫동안 한미 관계에 관여해 온 리처드 루거 전 상원의원 등이다. 차 선임고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이후 거의 두 시간 동안 CSIS 이사진들과 ‘광범위한’ 주제에 대해 논의했다.
▲ CSIS 전문가 초청 만찬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매들라인 올브라이트 전 미 국무장관(오른쪽)
미국 내 한국 전문가들의 모임인 ICAS(Institute for Corean-American Studies:한미문제연구소)의 김상주 부회장은 “여기 모인 사람들은 이전에 박근혜 전 대통령을 보러 왔던 사람들과 같은 사람들”이지만 “시대가 변했다”고 말했다.
한반도 문제와 미국 기업들의 이해
문 대통령의 첫 공개일정이었던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는 미국의 정책을 좌우하는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이 행사에 수백 명의 기업 관계자뿐만 아니라 미국 재무부, 국무부, 상무부, 그리고 미국통상대표부 관계자 수십 명이 참석했다.
상당수 참석자가 제트 엔진 제조업체 ‘프랫 앤 휘트니(Pratt & Whitney)’를 자회사로 둔 ‘유나이티드 테크놀로지스(United Technologies)’ 같은 방위산업체 관계자였다. 최근 보잉(Boeing Corporation) 사의 국제사업담당 부사장으로 영입된 마크 리퍼트 전 주한미대사는 대사 시절 그를 흠모한 팬들에게 둘러싸여 환영을 받았다. 제약업계의 거대 로비단체인 미국제약협회(PhRMA)나 세계적인 숙박 회사 에어비앤비(AirBNB)를 비롯해 시그나(CIGNA), 하니웰(Honeywell), 퀄컴(Qualcomm)과 같은 대기업의 뱃지를 단 사람들도 보였다. 두산, LG, 삼성 등 한국 기업들도 참석했다.
가장 규모가 큰 미국 기업 대표단 중 하나는 텍사스와 걸프연안(U.S. Gulf Coast)의 액화 천연 가스(LNG) 업계에서 왔다. 한 테이블에서 나는 넥스트 데케이드(NextDecade)라는 텍사스 회사 설립자이자 CEO인 케서린 아이스브레너(Kathleen Eisbrenner)를 만났다. 넥스트 데케이드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 LNG를 수출하는 것을 목표로 텍사스 브라운스빌에 대규모 가스액화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다. 넥스트 데케이드의 매니저 지 윤(Jee Yoon)은 미국에서 가장 큰 기업 중 하나인 제너럴 일렉트릭(GE)사의 임원들을 자랑스럽게 가리키며, 그들이 자신의 회사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틀 뒤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루이지애나에 위치한 셰니에르 에너지(Cheniere Energy)가 “250억 달러를 넘는 계약에 따라 미국산 액화 천연가스를 한국에 최초 선적했다”고 발표했다. 한국 가스업계가 액화 천연가스에 큰 관심을 보이는 상황에서, 다른 기업들도 이와 유사한 거래를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같은 입장에 서야 한다고 회담에 참석한 미국 고위급 관계자들이 말했다. 제프 존스 주한 미국상공회의소 의장은 “두 정상은 북한 문제에 있어서 의견을 일치시키고 준비됐다고 말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야 강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대치, 그 너머의 일까지 내다보고 있다. 그는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의 다분히 회유적인 연설에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이 미국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드는 등 미국 측에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라며 평화적 문제해결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 협상 과정이 전개되면 미국 기업들이 “안심하고 한국에 투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북한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될 수 있다”고 약속했다. 미국의 감수성에 대한 최선의 호소였지만, 귀담아 들은 사람이 있었는지는 알기 어렵다.
“이제 한국이 운전석에 앉아야 할 때”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개인적 스타일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인 부분은 바로 언론과 시민들을 대하는 태도였다. 정상회담 기간 내내 미국 언론은 유명 앵커 미카 브레진스키를 공격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이한 트윗 관련 보도에 집중됐다. 문 대통령의 첫 백악관 입장 당시 한 기자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트윗에 대해 후회는 없습니까?”라고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주말 사이에 트럼프 대통령 자신이 공개적으로 경멸하고 ‘가짜뉴스’라고 부르는 CNN과 레슬링을 하는 동영상을 트위터에 올리면서 이 논란은 한층 악화되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시민과 언론 모두와의 만남을 즐기는 듯했다. 문 대통령이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던 중 일부 교민들이 그를 환영하기 위해 백악관 인근에 위치한 미국상공회의소 건물 앞에 모였다. 이들 중 일부는 백악관 앞에서 열린 사드 배치 반대 집회에 참석했던 사람들이었다. 갑자기 문 대통령이 그들 사이에 나타나 교민들과 악수를 하며 인사를 나누기 시작했다. 이 자리에 있던 교민 중 서울 출신으로 지난 대선에서 문 대통령을 찍었다는 교민 양하나 씨는 “이것은 잊지 못할 기억”이라며 “우리는 문 대통령이 한국을 더 좋은 곳으로 만들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방미 마지막 일정이었던 토요일 동포 간담회에는 500명 이상의 한국 교민들이 문 대통령의 방미 소감을 듣기 위해 워싱턴 DC의 힐튼 호텔에 모여들었다. 뉴욕에서 온 인테리어 디자이너 구혜란 씨도 그 중 하나였다. 그녀는 자신의 아버지가 독립운동가인 구익균 선생이며 박정희 정권 당시 공산주의자로 낙인찍혀 수감생활을 했다고 말했다. 아버지가 10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을 때, 박근혜 정부의 보훈처는 그의 현충원 안장을 불허했다. 구 씨는 기자에게 말했다. “그러니 제가 문재인 대통령이 현재 대통령인 게 얼마나 기쁘겠어요? 문 대통령이 하나씩 다 바로잡고 있어요.”
▲ 미국 현지교민들과 단체 기념촬영을 하고있는 문재인 대통령
워싱턴 DC 지역에서 오랫동안 활동해 온 서혁교 NAKA(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 미국동포전국협회) 부회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해 이전 대통령들의 방문 때와 비교하여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에 모인 인파 구성이 매우 다양했다고 말했다. 그는 “촛불집회와 세월호 희생자들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두 모였다”며 “교민들의 열기가 뜨거웠다”고 전했다. 서 부회장은 또 문 대통령의 핵심적인 메시지는 한미동맹이 굳건하고 중요하지만 “이제는 한국이 운전석에 앉을 때가 됐다”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결과적으로 “한반도 긴장을 해소할 수 있는 남북대화의 여지가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기사 원문(영어) 보기 | See original version(EN)
There was a moment on the opening day of President Moon Jae-in’s summit meeting at the White House last week that crystallized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era of Donald Trump. It came on Friday, after Trump and Moon had made their formal remarks about North Korea and the importance of the US-South Korean military alliance.
Suddenly, Trump cut loose with a critique of South Korea’s economic ties with the United States. “We are renegotiating a trade deal right now as we speak,” he declared to the surprise of many onlookers. He described the Korea-US Trade Agreement (KORUS), signed by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a favorite target of his during his campaign, as a “rough deal for the United States.” “We want something that’s going to be good for the American worker,” he informed Moon.
But the real shocker came inside the White House cabinet room, where Moon and his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had been invited to meet the rest of Trump’s team. After making a few welcoming comments, Trump asked Wilbur Ross, his Secretary of Commerce, to speak about trade. With cameras rolling (at Trump’s insistence), Ross lit into Moon and Kang about South Korea’s restrictions on US auto and steel exports.
Ross, who had alienated the German government with a similar lecture a few days before, insisted that Seoul’s administrative “rulemaking” on foreign products affects the “access US companies have to the Korean market,” particularly in manufacturing. There was no mention whatsoever of North Korea or Moon’s desire to resolve the tense situation with his neighbor. But as Moon began to offer his response, CNN quickly cut away, leaving the last word to Trump’s 80 year-old cabinet secretary.
“It all amounted to an unusual display of one-upmanship in a meeting between close allies,” the Associated Press concluded. It was also a stunning violation of protocol: in any other administration, the lead spokesman on foreign policy would be the Secretary of State, a position now held by former Exxon CEO Rex Tillerson. He, however, has been effectively sidelined, and media stories last week said he was deeply angry over his treatment by the White House.
Yet, as with most confrontations between Americans and South Koreans, there was a hidden undercurrent to the story that was missed by the US and Korean media.
Ross, as Moon must know from his experience as a labor lawyer in Busan, is the same New York capitalist who led the wave of vulture investors who descended on South Korea during the IMF crisis of the 1990s. During that time, foreign companies and private equity funds made small fortunes buying and selling bankrupt Korean companies – including, in Ross’ case, steel manufacturers – while thousands of Korean workers lost their jobs.
In one incident I reported on in 1999, Ross himself helped break a strike at the bankrupt Halla Group. Even though Ross was rewarded by Kim Dae Jung’s Blue House for his efforts during the crisis, many of his victims were left with nothing. Ross left Korea “with a reputation as a swindler who made exorbitant profits out of vulnerable companies,” a Korean economist told The New York Times in 2006. South Korea, of course, has come roaring back since then, and is now the 12th largest economy in the world.
But there was a lesson in Ross’s rant. By pushing his decades-old agenda of forcing changes in the Korean economy, Ross was acting, like Trump and his family often do, on his own parochial concerns and personal financial interests. For a moment, US foreign policy was totally focused on the interests of one rich man. It was a reminder that, despite all the rhetoric about the alliance and their shared interests,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ir respective, presidents, are on sharply divergent paths in 2017.
For Moon, the purpose of his visit was to firm up the US-South Korean military alliance and seek common purpose with Trump on North Korea. During the first two days of his trip, he paid emotional visits to the Korean War Memorial and with US Marines who had helped his parents escape from North Korea in 1950. In a major concession on North Korea before the summit, Kang had signalled that the contentious deployment of THAAD – currently delayed by an environmental review – would be eventually approved by Seoul. Moon reaffirmed this policy when he met with US lawmakers and Republican leaders on Thursday.
As a result of his actions, Moon got much of what he wanted. In his meetings with Trump, they agreed to leave the door open to dialogue with North Korea “under the right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ir joint statement. Trump, meanwhile, “supported President Moon’s aspirations to restart inter-Korean dialogue on issues including humanitarian affairs.” He also confirmed South Korea’s “leading role” in creating conditions for peaceful reunification.
Still, Trump made it clear from the start that his unilateral approach was still in play, particularly towards China. One day before Moon arrived in Washington, Trump’s Treasury Department announced new sanctions against China as a way to pressure North Korea, charging four Chinese banks and individuals with laundering money for Pyongyang. But his directive, which was accompanied by a major US arms sale to Taiwan, was widely interpreted “as a shot across the bow not only to Beijing, but also to Mr. Moon, since it emphasizes pressure over diplomacy,” The New York Times commented.
In another sign of bilateral dischord that same day,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er, former Army general H.R. McMaster, declared that Trump was preparing a list of military options against North Korea. “There’s recognition that there has to be more pressure on the regime,” he told the Center for a New American Security, a Democratic-aligned think tank heavily funded by military contractors.
Meanwhile, at the White House, Trump emphasized how the deepening military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 was good for business. He noted that South Korea is “giving very big orders to the United States for military. They’re buying F-35 fighter jets from Lockheed and buying other military equipment at a level that they’ve never done before, so that’s good.” (he didn’t mention that Lockheed also makes the THAAD system.)
How Moon responded to Ross’s lecture on Korean trade practices has yet to be reported. But it was obvious that Trump’s economic offensive did not go over well with him and his delegation. On Saturday, just before he left for Seoul, Moon told Korean reporters that any talk of renegotiating KORUS was “outside of the agreement” he reached with the White House.
Despite the friction, however, Moon appeared immensely satisfied with his meetings, particularly Trump’s agreement with his dual approach to North Korea and their emphasis on sanctions and dialogue. “Securing President Trump’s support for South Korea’s leading role in fostering a favorable condition for a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sumption of inter-Korean dialogue was a very important achievement,” he told a gathering of overseas Koreans just before he left on Saturday.
US officials and observers were also pleased. “Everyone was expecting a train wreck,” Victor Cha, the top Korea specialist at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told Newstapa after Moon’s Friday night speech at the think tank. “But on the contrary, everything went very well.”
Asked if the Korean government’s environmental review of THAAD might present a future problem for the alliance, Cha said the United States was assured by Foreign Minister Kang’s “unequivocal” remarks to CSIS last Monday that Seoul “has no intention to basically reverse” its commitment to THAAD. “That was very important, and cleared the air,” said Cha (he would not confirm or deny rumors that he may be the next US ambassador to Seoul).
In any case, the CSIS speech served as a kind of stamp of approval of Moon by Washington’s foreign policy establishment. There, sitting in the front row, were many of the country’s best known diplomats and national security officials. They included two former Secretaries of State, Colin Powell and Madeleine Albright; Richard Armitage, Powell’s former deputy at State and a former Pentagon official; former Secretary of Defense William Cohen; and Richard Lugar, the former chairman of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and a longtime player in US-Korea relations. Afterwards, President Moon spent nearly two hours meeting with the CSIS board of directors in a “wide-ranging” discussion, according to Cha.
“This was the same crowd that turned out to see Park Guen-hye last year,” noted Sang Joo Kim, the executive vice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Corean-American Studies, a local organization of Korea experts. “But times have changed.”
Moon’s first public appearance at the US Chamber of Commerce provided a dramatic display of the corporate interests driving American policy. Several hundred business people were in attendance, as well as dozens of officials from the Departments of Treasury, State and Commerce as well as the Office of the US Trade Representative.
Many attendees were from the defense industry, including United Technologies, the owner of jet engine maker Pratt & Whitney. Mark Lippert, the former US ambassador who recently joined Boeing Corporation as vice president for international business, was virtually mobbed by admirers of his recent tenure in Seoul. Others wore badges from PhRMA, the huge pharmaceutical industry lobby; AirBNB, the global rental company; and corporate giants CIGNA, Honeywell and Qualcomm. Korean companies Doosan, LG and Samsung were also in attendance.
One of the largest US contingents came from the LNG industry in Texas and the US Gulf Coast. At one table, I met Kathleen Eisbrenner, the founder and CEO of a Texas company called NextDecade, which is building a massive gas liquification plant in Brownsville, TX, with the goal of exporting LNG to South Korea and other Asian markets. Jee Yoon, NextDecades’ business development manager, proudly pointed to the executives at his table from GE, one of the nation’s largest corporations, which has invested in the company.
Two days later, at the White House, Trump announced that Cheniere Energy of Louisiana was “sending its first shipment of American liquefied natural gas to South Korea in a deal worth more than $25 billion.” With Korea Gas in the market for more LNG, the other companies will be cutting similar deals soon. To get there, however, US executives at the meeting said they needed Moon and Trump to take a united stand on North Korea. “The two of them should stand together and say we’re lined up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Jeff Jones, the director of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was overheard saying. “That will send a strong message.”
But President Moon was looking beyond the confrontation with the North. In his conciliatory speech to the Chamber, he made a strong case for his peace initiatives, arguing that negotiations towards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ould benefit the United States by creat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for American corporations.
As the peace process unfolds, Moon promised the Chamber, “you will be able to invest in South Korea with no concerns” and therefore “gain an interest in future investments in North Korea.” It was an appeal to the best of American sensibilities, but it’s difficult to know if anyone listened.
One of the most dramatic contrasts between Moon and Trump was their personal styles of dealing with the press and the public. Throughout the summit, US news coverage was dominated by Trump’s bizarre tweets attacking Mika Brzezinski, a well-known media figure. “Mr. President, do you regret any of your tweets?” one reporter could be heard shouting at Trump as Moon made his first entrance to the White House. The controversy worsened over the weekend, when Trump tweeted a video of himself wrestling with a figure from CNN, the network he disdains and calls “fake news.”
Moon, however, seemed to take delight in his encounters with both the public and the press. During his speech at the Chamber, a crowd of Koreans gathered in front of the ornate building near the White House to welcome him. Some had just come from a separate demonstration at the White House protesting THAAD. Suddenly, President Moon appeared in their midst, shaking hands and greeting his fellow Koreans. One of them was Hana Yang, a former resident of Seoul who had voted for Moon in the last election. “This is an unforgettable memory,” she told me. “We believe he will make our country much better.”
On Saturday, in Moon’s last event in Washington, over 500 overseas Koreans showed up at the Capitol Hilton to hear him speak about his visit. One of them was Haerun Ku, an interior designer from New York. She explained that her father, Ku Ik Kyun, had been an independence fighter and was later jailed as a communist under Park Chung Hee. When he died at the age of 106, Park would not allow him to be buried in a national cemetery. “So imagine how happy I am that Moon Jae-in is president now,” she told me. “He’s taking all the right steps.”
H.K. Suh, the vice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Americans and a longtime activist from the DC area, said the crowd at the speech was very diverse in comparison to previous visits by Park Guen-hye and other former presidents. “Those supporting the candlelight vigils and the victims of the Sewol were all represented,” he said. “The people were very enthused and energized.” Moon’s primary message, Suh added, is that while the alliance is strong and important, “it’s time now for South Korea to get in the driver’s seat.” As a result, “back home there’s going to be more room for intra-Korea dialogue, with will lead to a reduction of tensions.”
취재 : 팀 셔록
번역 : 임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