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처음 발을 내디딘 두 달 전, 내게 주어진 공간은 1.5평짜리 고시원이었다. 복도에 들어서면 훅 들어오는 옆 방 사람들의 숨 냄새, 최소한의 생활용품만 넣을 수 있는 가구로 꽉 찬 방. 좁은 공간에서 게처럼 옆으로 움직이며 보낸 시간은 ‘고시원’이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것처럼 음울함의 생생한 구현이었다. 창문과 화장실이 함께 있다는 이유로 방세가 무려 50만 원에 육박하는 곳이었지만, 그 많은 방은 이미 사람들로 꽉 차 있었다.
고시원을 탈출해 찾아다닌 집들도 비좁기는 마찬가지였다. 나름 거금으로도 서울에서 얻을 수 있는 공간은 5평 내외일 뿐이다. 살림살이를 채운다면 여기에서도 게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부동산에서는 ‘이 정도면 넓게 나온 편’이라고 한다. 주변 이야기를 들어보니 서울은 본래 다 그렇단다.
서울에서 좁은 것은 비단 집뿐만이 아니다. 출퇴근 시간의 버스와 지하철도 마찬가지다. 배낭을 등에 메고 있을 만한 공간의 여유는 없다. 도로는 차로 가득해 길 위에서 보내는 시간만 해도 어마어마하다. 식당과 카페에 가면 옆자리 사람들과 이야기가 섞이는 것 같다. 번화가 에서는 마주 오는 사람들을 민첩하게 잘 피해 다녀야 한다. 서울은 언제 어디에서나 사람들로 북적인다.
서울을 벗어나면 원시사회가 된다
서울에는 사람만큼이나 일자리, 교육, 문화 등 다른 기회도 많다. 사람이 몰릴 수밖에 없다. 2016년 서울의 인구 밀도는 1㎢당 무려 16,861명이며, 우리나라 인구의 약 5분의 1이 살고 있다. 그래서 서울 일은 곧 나라의 일이 된다. 일례로 서울의 폭염은 연일 뉴스 메인을 장식했지만, 주민들이 목숨 걸고 수년 동안 농성했던 밀양의 송전탑 문제는 그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아주 가끔 짤막하게만 다뤄졌다.
역사적으로 늘 있었던 중앙집중 현상은 1960~70년대 성장 위주의 거점 개발로 더욱 강화됐고 지금까지 이어졌다. 전국으로 쭉쭉 뻗은 고속도로와 고속철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초고속인터넷이 생겼지만, 서울에 몰린 기회는 분산되지 않는다. 높은 인구밀도로 인한 피로감은 온갖 시설과 서비스로 보상받는다.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지적했듯이 여전히 우리나라는 서울을 벗어나면 원시사회가 된다.
지방균형발전, 실현할 수 있을까?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단골 공약인 지방균형발전은 수도권 규제나 행정수도 이전 등으로 시도됐다. 실제로 2011년부터 서울의 인구수는 감소추세이고, 2015년에는 통계 작성 최초로 서울에서 빠져나간 인구가 서울로 유입된 인구를 역전했다는 반가운(?) 소식도 들렸다. 하지만 유출의 주요 요인이 무서운 전셋값에 떠밀려서라니 문제의 핵심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교통망을 늘리고 기업을 지역에 유치하는 단순한 접근이 아니라 서울 중심적 사고의 전환과 함께 혁신적 실천이 필요한 때이다. 이번 정부는 이를 어떻게 풀어낼지 지켜봐야겠다.
– 글 : 이다현 | 지역정책팀 연구원 ·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