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대통령선거 당선인은 별도의 인수위원회 절차없이 곧바로 대통령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자연히 지금 대선 캠프에서 호흡을 맞추고 있는 사람들이 곧바로 내각과 주요 공직 인사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어떤 인물들이 캠프에 소속돼 있는지, 캠프 내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차기 정부의 비전과 해법을 말할 자격과 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사실상 없는 실정이다.
뉴스타파는 문재인, 안철수, 홍준표, 유승민, 심상정 등 5명 후보의 캠프에 소속된 인사 900여 명의 면면을 조사했다. 그 결과 과거 사회적 물의를 빚었거나 비리 등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은 인물이 다수 포함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각 캠프에서는 짧은 대선 기간 동안 자진해서 몰려드는 많은 인사들을 일일이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사실 우리 기준으로는 ‘아, 이 분은 참 우리하고 안 맞는다’ 싶으면서도 ‘아, 또 한편으로는 이런 분들도 이번에 우리 후보를 지지해 주는 구나’ 이런 효과를 중시하는 거죠. 정말 집권했을 때에는 진짜 우리가 지향하는 바에 따라 엄격하게 원칙과 기준을 세워서 인사를 하면 된다는 생각입니다.
원혜영 / 문재인캠프 인재영입위원장
과거에 이렇게 했다고해서 그 자체가 배제 사유가 되어야 하느냐는 생각을 했을 것 같습니다. 저희도 더 다양하게 검증이 가능하다면 여러 각도에서 더 논의가 됐을 겁니다. 그런데 지금 캠페인 과정이고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손금주 / 안철수캠프 수석대변인
법적 책임이 있으면 법적 책임을 지는 거고, 징계받은 사람은 저희가 캠프에 참여를 안 시킵니다. 무조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책임을 져라하는 것은 우리가 결례를 하는 것 아닙니까?
함진규 / 홍준표캠프 홍보본부장
하지만 이대로라면 지난 박근혜 정부 4년 간 계속돼온 인사 파동이 차기정부에서 재연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단 선거에서 이기고 보자”는 논리로 사람을 끌어들여 외연을 확장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또 정계의 관행상 ‘보은 인사’가 없을 것이라는 말도 현재로선 장담할 수 없다. 인수위 없는 이번 대선에서 캠프 인사 검증이 절실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뉴스타파가 각 캠프 소속 분야별 전문가 가운데 유권자들이 주시해야할 ‘문제적 인물’을 정리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캠프
① 정국교 (캠프 직책 : 대·중소기업상생위원회 위원장) |
② 오갑수 (캠프 직책 : 금융경제위원회 위원장) |
③ 윤종기 (캠프 직책 : 경찰행정개혁위원회 부위원장) |
④ 송영무 (캠프 직책 : 국방안보위원회 상임공동위원장) |
⑤ 박종헌 (캠프 직잭 : 국방안보위원회 상임공동위원장) |
⑥ 이선희 (캠프 직책 : 국방안보위원회 상임공동위원장) |
국민의당 안철수 캠프
① 임성균 (캠프 직책 : 경제살리기특별위원회 부위원장) |
② 김중련 (캠프 직책 : 특보) |
③ 이영하 (캠프 직책 : 특보) |
④ 하창우 (캠프 직책 : 법률지원단 단장) |
자유한국당 홍준표 캠프
① 정우택 (캠프 직책 : 중앙선거대책위원장) 외 10명 ② 곽상도 (캠프 직책 : 공명선거추진단장) |
③ 최교일 (캠프 직책 : 공명선거추진단장) |
④ 김석기 (캠프 직책 : 민생침해범죄척결 위원장) |
⑤ 이석우 (캠프 직책 : 공보특보) |
바른정당 유승민 캠프
① 김무성 (중앙선거대책위원장) 외 4명 |
② 이종구(캠프 직책 : 경제혁신위원회 위원장) |
③ 김종훈(캠프 직책 : 경제혁신위원회 부위원장) |
④ 조전혁(캠프 직책 : 직능본부 부본부장) |
취재 : 오대양, 박중석, 심인보
촬영 : 신영철
편집 : 이선영
CG : 정동우
데이터 : 최윤원, 김강민, 한유주
댓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