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선기의 그 섬에 가고 싶다]는 격주로 연재됩니다.

 

일반적으로 섬을 말하면, 대부분 유인도를 이야기 한다.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홍도나 울릉도도 모두 유인도이다. 하지만 ‘섬’에는 무인도도 포함돼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3,340여개의 섬이 있으며, 이는 유인도와 무인도를 모두 합한 수치다.

섬은 지리적, 사회경제적으로 늘 변하고 있는 유동적인 자산이다. 때론 유인도가 무인도가 도고, 반대로 무인도가 유인도가 되기도 한다. 어장이 발달한 시대에는 많은 어민들이 섬에 거주하면서 유인도였다가 이제는 무인도로 변한 곳도 많다. 무인도에서 꾸준히 사람들의 흔적이 발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무인도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관광객을 찾아볼 수 없는 곳이다. 그저 유인도로 향하는 길목에서 무심결에 바라보는 게 전부다. 비록 사름은 살지 않지만 무인도도 각자 이름이 있다. 소유권도 있고 관할지역도 있다. 통계를 살펴보면, 무인도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라남도다. 우리나라 섬의 62%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섬 관리는 관할 행정기관이 맡는다. 다만, ‘유인도냐 무인도냐’에 따라 관리주체가 다르다. 무인도의 경우는 자연생태계의 우수성에 따라 특정도서를 환경부가 관할하고 나머지는 해양수산부가 도맡아 관리한다. 두 기관의 관리방침은 거의 유사하나 해양수산부의 경우는 무인도서의 용도구역을 설정해 관리하고 활용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게 다르다.

무인도는 오래전부터 유인도에 인접한 부속도서로 여겼으나 어민들은 다양하게 활용해온 곳이다. 특히 청정지역의 무인도는 다양한 어류를 비롯해 미역, 다시다. 전복, 해조류 등 해양생물의 서식처이자 산란장 역할을 해왔다. 한마디로 ‘자연 양식장’이라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도 무인도를 중요한 어장의 거점으로 일삼는 국가가 많다.

또한, 무인도는 자국 영토의 경계선으로 나라지킴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는 옹진군 덕적면 백아리 소령도(5,752㎡), 충남 태안군 가의도리 서격렬비도(128,903㎡), 전남 신안군 가거도리 소국흘도(4,760㎡), 제주시 추자면 신양리 절명서(3,372㎡), 전남 여수시 연도 간여암(1,905㎡), 부산 해운대구 송정동 1.5미터 암반(50㎡), 경북 포항시 대보면 호미곶(332㎡)등을 포함 13개의 영해기점 무인도가 있다. 이들 섬은 영토보호 차원에서 외국인 토지거래를 제한하고 있다.

한편, 섬은 국가간 분쟁의 씨앗이 되기도 한다. 섬의 역사를 살펴보면 국가간 관할권 주장으로 인한 갈등의 역사를 엿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최근 동북아시아가 갈등을 빚고 있는 국가분쟁이다. 일본과 한국 사이에는 독도가, 중국과 일본은 센카쿠열도, 러시아와 일본은 쿠릴열도 등을 둘러싸고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의 해양진출이 두드러지면서 필리핀과의 접경지대인 남사군도(南沙群島)의 무인도에 공항을 건설, 미국 및 일본 등 주변국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무인도는 소유자를 제외하고는 뭍사람들에게 무관심의 대상이다. 유인도에 버금가는 스토리텔링이 존재하고 생물자원도 풍부하고 환경보전가치도 높으나 이를 인식하고 있는 이들은 드물다. 최근 정부가 무인도 중 활용가치가 높은 곳을 선정해 관광자원화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내용에 주목하는 이유다. 관광객들의 안전과 자연보전을 보장할 수 있다면, 무인도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겠다.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홍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