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등을 찍지 않았다는 이유로 가치를 잃는 수많은 표,
국민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는 대표,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하는 정당까지.

유권자의 의사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현행 선거제도를 바꾸기 위해,
청년, 정치인, 학자, 시민사회활동가 120여 명이 한 자리에 모였습니다.

민주행동, 비례대표제포럼, 한림국제대학원대 정치경영연구소가 주최한
제9회 대안담론포럼이 7월 13일 홍대 카톨릭청년회관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포럼은 "누가 어떻게 선거제도 개혁을 이룰 것인가? '정치기업가'론"이라는 주제로 이루어졌습니다.



함세웅 신부, 최병모 변호사의 인사말과 김상곤, 심상정, 천정배 의원의 연대발언 이후
최태욱 비례대표제포럼 운영위원장이 '정치기업가'라는 개념을 가지고 발제를 진행했는데요,
정치기업가란 시민들에게 정책 정보를 알리고 여론을 모아
시민들의 선호를 담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치 영역에서 일하는 사람을 말하는 것으로,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서 정치인들이 정치기업가로 나서야 하며
시민사회단체와 학자들이 그 주위에서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후에는 여러 시민사회단체에서 선거제도개혁 추진 전략을 이야기했습니다.
KYC 하준태 대표도 이 자리에서 청년 정치기업가들이 모이는 '총선청년연대'를 제안했습니다.



발제와 지정토론 이후, 모두가 참여하는 원탁토론이 진행되었습니다.
12개의 테이블마다 청년들이 절반 이상의 자리를 차지했고,
정치인, 학자, 시민사회활동가들이 함께 자리를 채워 열띤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첫 번째 토론 주제는 "어떻게 선거제도 개혁 여론을 조성해나갈 것인가?"였습니다.
선거제도를 바꾸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선거제도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개혁 움직임에 동조할 수 있어야겠지요.
각 테이블에서 30분 가량의 토론을 통해 나온 다양한 의견들은,
새로운 콘텐츠 개발, SNS 활용, 언론의 협력을 구하는 것, 정치인 압박 등으로 정리될 수 있었습니다.



이어진 두 번째 토론 주제는 "어떻게 선거제도 개혁을 실현시킬 것인가?"였는데요,
여론 조성과 더불어 구체적인 방안이 나와야 실제로 바꿔갈 수 있기에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청원입법운동을 벌인다, 정개특위를 생중계한다, 대선과 총선 때 정치인을 압박해 공약화 시킨다 등의 의견이 나왔습니다.

1시간 이상 지속된 토론 후, 120여 명이 앉아 있는 각각의 테이블에서 나온 의견은 정리되어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앞으로의 해야 할 일을 제시하는 하나의 목소리가 되었습니다.

토론 후, 열기는 이어가고 흥은 더한 '길가는 밴드'의 공연이 있었고
원탁토론의 결과를 반영해서 완성된,
'선거제도 개혁 연대'를 요구하는 공동선언문 발표를 끝으로 포럼은 막을 내렸습니다.



어느덧 예정 시간을 훌쩍 넘긴 밤이었지만 많은 분들이 끝까지 자리를 지키고 함께했습니다.
우리 선거제도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청년들과 정치인, 학자, 시민사회활동가 등 선거제도 개혁과 관련해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분들을 직접 만나
정책을 이야기하고 서로의 의견을 나눌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내년 총선과 이후 대선까지, 선거제도 개혁은 지속적인 의제가 될 것입니다.
선거제도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지속적인 관심과 시선 부탁드립니다.



글 정리_ 사무국 전여진 활동가 

Creative Commons License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