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4]

콩국수 마인드맵

이은

 

크게 가리는 음식 없이 뭐든지 잘 먹던 중학생의 나는, 난생처음 콩국수를 한 입 먹은 뒤 오만상을 찌푸리며 이런 생각을 했을 것이다. ‘누가 내게 싫어하는 음식이 뭐냐고 물어본다면 이제부터 주저 없이 콩국수라고 대답해야겠다.’ 콩국수를 한 입 먹고 젓가락을 내려놓는 나를 보며 엄마는 이렇게 말했다. “나이가 들면 콩국수가 좋아질 수도 있을걸?” 그 말을 들은 나는 무슨 일이 있어도 콩국수를 좋아하는 어른이 되지는 않으리라 확신했을 것이다. 하지만 나의 삶은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생명을 가진 존재가 음식으로 바뀌는 과정에 대한 앎, 약 20년 동안 이에 대한 의심 없이 음식을 즐겼던 지난날에 대한 반성, 비인간 동물로 만든 음식을 쉽게 접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사회 구조에 대한 회의감, 이 세 가지는 나를 자의로 비인간 동물을 먹지 않는 어른으로 자라게 했다. 비건을 지향하는 삶을 살면서, 내 입에 들어가는 음식은 어떤 재료로,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게 되었고, 그해 여름에는 생채소의 싱싱함과, 익힌 구황작물의 달짝지근함이 주는 건강함에 푹 빠지게 되었다.

이렇게 다소 심심한 음식을 즐길 수 있는 입맛으로 바뀌면서, 생애 두 번째 콩국수를 먹어 보게 되었다. 걸쭉한 콩물에서 고소한 콩 맛이 느껴지는, 이 일차원적인 콩국수의 맛과 조리 과정은 ‘좋은’ 음식에 대한 나만의 정의를 세우게 해 주었다. 원재료 본연의 맛이 느껴지고, 어렵지 않게 조리 과정을 상상할 수 있는 음식. 다시 말해 원재료와 조리 과정이 투명하게 보이는 음식을 ‘좋은’ 음식이라 정의할 수 있었다. 데친 면을 담은 그릇에, 삶은 콩을 믹서기에 갈아 만든 콩물을 붓고, 고명으로 방울토마토와 채 썬 오이를 올리면 완성되는 콩국수는 좋은 음식이 되기에 충분했다.

콩국수는 여름 한정 메뉴로 많은 식당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단체 생활을 할 때 자주 시켜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여름을 제외한 계절에 내가 단체 회식에서 주문하는 것은 보통 알리오 올리오나, 달걀후라이를 뺀 비빔밥, 야채 볶음밥 정도이다. 나를 ‘유난스러운’ 사람으로 바라보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을 떨쳐내는 것은 아직 어렵기에, 다른 사람들이 나를 지켜보는 가운데서 알리오 올리오에 치킨스톡이 들어가는지, 비빔밥 나물에 액젓이 들어가는지, 볶음밥에 굴 소스가 들어가는지 등을 꼼꼼하게 확인하는 데에는 아직 많은 용기가 필요하다. 그래서 마음 한편에 죄책감을 간직한 채, 동물성 식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음식을 먹곤 하는데, 콩국수를 주문할 때는 달걀 고명만 빼달라는 말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식사 시간을 즐길 수 있다.

이번 여름에는 콩국수를 적어도 다섯 번은 먹겠다는 당찬 포부를 안고 있는 내게, 콩국수는 여름 별미, 그 이상이다. 내가 간직하고 싶은 가치를 온전히 지키면서도, 사회로부터 고립되지 않게 해 주는 연결고리, 콩국수는 나에게 그런 음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