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합리화가 가득한 비건 ‘지향’ 일기

 

예지 활동가

 

나는 비건이 아니다. ‘비건’에 대해선 온갖 자기모순과 부끄러움이 가득한 마음이지만, 나와 비슷한 누군가도 있겠지- 생각하며 글을 쓴다.

몇 년 전, 페스코를 도전한 일이 있다. 우연히 비건에 대한 활동가 강연을 듣게되었고, 여러 의문에 휩쌓였다. 정말 비건으로도 건강할 수 있을까? 우리 엄마는 건강하려면 꼭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해야된다고 했는데. 실제로 강연자에게 “근데 정말 몸이 건강하세요?”라고 질문했다. 지금이야 비건에 대한 책도 레시피도 많고, 채식식당도 종종 볼 수 있지만 그 당시는 그런 정보를 찾기가 정말 어려웠다. 강연자 선생님은 조금 당황하시더니 본인이 건강하다고 하셨다. 솔직히 얼굴빛이 좀 어두워보여 긴가민가 했다.

강연 이후, 난 페스코에 도전했다. 비건이 아닌 페스코였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았다. 친구들을 만나면 내가 왜 페스코를 실천하는지에 대해 일일이 설명해야 했다. 다들 유난떤다는 반응들이었다. 비건이 아닌 페스코라 적당히 해산물 파는 식당에 들어가면 됐지만, 그마저도 친구들에게 일일이 배려를 구해야 해서 꽤 피곤했다. 그래도 꿋꿋이 반년을 견뎠다. 

하지만 이 도전은…! 예상 밖의 사건으로 무너지게 된다. 내가 안식월을 가지며 미식의 나라 이탈리아로 여행을 갔기 때문이다…★ 내가 나를 무너트린거다. 솔직히 이탈리아 본토에서 만든 살라미를 너무 먹어보고 싶었다. 

그래서 현재. 나는 ‘먹는 즐거움’이라는 욕망 아래 육식이 주는 온갖 부정한 현실들을 외면하며 살고있다. 

고뇌했다. 내 삶에 ‘식’이 주는 즐거움이 너무 큰 것을 어쩌면 좋나… 트러플꿀에 찍어먹는 쫀득한 브리치즈와 슴슴한 평양냉면, 겨울철 먹는 뜨끈한 일본라멘까지… 이런 음식들을 평생 안 먹으며 산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불가능했다. 동물성 식단을 아예 끊기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스스로 너무 우울해질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여러 번의 자기합리화 끝에 내가 정한 방법은 ‘육식 줄이기’다. 주 1-2회 정도로 육식 횟수를 줄였다. 활동가 동료들과 점심 도시락을 싸면서 고기를 먹는 날은 더 줄었고 버섯, 두부, 감자, 오이 등 채식 위주의 식단을 한다. 요즘은 #풀무원지구식단 에서 나온 두부텐더에 푹 빠져있다. 

생각할 수록 온전한 비건의 삶을 산다는 것은 참 대단한 일이다. 비건일기가 아닌 비건(지향)일기를 기획하게 된 이유도 그거다. 완벽한 ‘비건’의 이야기를 듣기보단, 고군분투하는 비건 ‘지향’인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제 조금은 알 것 같다. 그들이 어떤 마음으로 비건을 지향하는지, 또 그 과정에서 얼마나 숱한 실패를 경험하는지. 그럼에도 비건 지향의 삶을 꿋꿋이 살아가는 그대들에게 무한한 경의를 표한다.

나는 나대로 비건 ‘지향’의 삶을 살려고 한다. 하루만에 “채식인 선언!”을 하기는 쉽지 않아, 나답게 슬렁슬렁, 나만의 템포로, 그치만 꾸준하게 걸어보려한다. 누군가 내게 말했는데(누구였더라🤔…), “한 명의 비건이 있는 것보다 여러 명의 비건 지향인이 있는 것이 지구엔 더 도움이 될 거”라고. 그 여럿 중 하나가 내가 될 수 있길 믿으며. 오늘도 난 자기합리화가 가득한 비건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