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나무의 노래 – 자연의 위대한 연결망에 대하여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 지음, 노승영 옮김 / 에이도스 / 2018년 01월

우리는 자연에 속해 있다.

 

“우리의 몸과 마음은 우리의 과학과 예술은 자연을 조금도 벗어나지 않았다. 우리는 생명의 노래를 떠날 수 없다. 이 음악이 우리를 만들었으며 우리의 본질이다. 따라서 우리의 윤리는 속함의 윤리여야 한다. 인간의 행위가 온 세상의 생물 그물망을 끊고 멋대로 연결하고 마모시키는 지금, 이 윤리는 더더욱 긴박한 명령이다. 따라서 자연의 위대한 연결자인 나무에게 귀를 기울이는 것은 관계 속에 근원과 재료와 아름다움을 생명에 부여하는 관계 속에 깃드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공간도 이름도 낯선 에콰도르 티푸티니강 유역의 케이폭나무부터 어쩌면 오늘 아침 빵을 찍어 먹었던 기름을 내줬을지 모를 예루살렘의 올리브나무까지 12종의 나무 이야기. 인간이 범접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는 차원에서 고고한 생명을 이어가는 나무 이야기가 아니다. 주변의 자연 세계와 까마득한 과거와 예측할 수 없는 미래와 무엇보다 환경훼손의 주범으로 전락하고 있는 인류와도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나무 이야기다. 인류가 직면한 지구온난화, 쓰레기, 석탄, 산불, 도시화, 전쟁…, 이 모든 문제가 결국 나무와 연결된 문제임을 들려주는 이야기다.

 

생태나 환경을 이야기하는 책들 중 가장 많은 것이 나무에 관한 책일 것이다. 그 많은 나무에 관한 책 중 이 책만의 미덕을 꼽으라면 나무를 통해 우리의 윤리와 미적 감각을 새로 깨워준다는 점이 아닐까. 자연으로부터 멀어져 자연을 훼손하기에만 급급한 인류라는 자각에만 머물지만 말고 우리가 나무를 통해 자연과 연결되어 있고 자연에 속해 있음을 깨닫자는 ‘속함의 윤리’를 저자는 말한다. ‘우리가 자연을 자각하지 못할 때조차 우리는 자연’이라는 말은 내심 우리가 너무 멀리 가 있지는 않다는, 여전히 자연에 속해 있는 안도감마저 준다. 생태미학은 생명 공동체의 특정한 부분 안에서 지속적이고 체화된 관계를 맺음으로서 아름다움을 지각하는 능력이므로 저자는 우리가 나무를 보며 느끼는 아름다움이 윤리의 문제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고 말한다.

 

먼 곳의 나무 이야기지만 읽다 보면 ‘자연의 위대한 연결망’이라는 부제처럼 결국 이 땅의 나무와 사람들의 이야기로 연결된다. 원주민들이 정령이 깃들어 있다고 믿는 케이폭 나무의 바람 소리는 가리왕산의 바람소리가 되어 주었던 무참히 베어져 버린 500년 묵은 나무들의 이야기로, 병충해에 강해 맨해튼 거리의 가로수가 되었지만 인기를 잃어가는 콩배나무는 우리나라 도심의 은행나무, 버즘나무의 처지를 떠올리게 한다.

정명희
녹색연합 협동사무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