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생태환경사

조선의 생태환경사

김동진 지음 / 푸른역사 / 2017년 2월

“기후변화, 종다양성의 감소, 생물학적 교환과 바이러스 변이 등이 초래하는 위기는 오늘의 번영을 나의 아들과 딸, 손자와 손녀가 함께 누리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올 정도로 심각해졌다. 이런 점에서 지속가능성은 현 시대 최고의 화두다. 이 책은 과거 인간의 역사적 활동과 생태환경의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가올 미래에 대한 대중의 질문에 역사학적으로 답하기 위해 썼다. 미래란 현재를 거쳐 과거에서 시작되었으므로 미래 문제의 답은 과거에 있기 때문이다.”

-앞의 책, p.15-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에는 사슴과 호랑이가 달리고, 사냥한 짐승을 실고 갈 마차가 준비돼있다. 조선 건국 후 17세기 초까지 매년 1,000여 마리 범을 사냥했다고 한다. 신증여지승람 에 범을 잡는 착호인을 9,900여명을 뽑아 운영했고, 함경도에서는 7,000명이 활동했다.

장마에 시냇물이 넘치는 땅을 무너미의 땅으로 매년 물난리에 기름진 숲은 수많은 야생 동식물의 터전이었다. 세종 문종 때부터 천방을 만들어 개간해 새로운 논과 밭을 늘려 천방과 보를 이용한 봇도랑으로 관개를 했다. 지금도 무너미 땅은 양동과 안강 등 일원에서 넓은 벌판을 이루고 있다. 오키나와에서 물소를 도입해 교배한 좋은 품종 한우는 힘과 인내력이 뛰어나 몸집도 커 농사에 큰 몫을 했다. 천방으로 환경이 변해 호랑이가 사라진 땅에 사냥은 시냇물에 물고기의 천렵이 되었다.

소나무는 목제로는 100년 이상 길러야 한다. 조선은 한양으로 천도와 대마도 정벌로 병선의 건조 등으로 안면도의 국가 관리 소나무가 소진되었다. 이에 운송이 편한 전국의 바닷가 293곳을 봉산으로 지정했다. 이도 부족해 17세기 이후 태백산맥이 펼쳐지는 주변 전역으로 확산했다. 양란 이후 숲은 화전으로 크게 훼손 되어 산의 7, 8활이 벌거숭이로 황폐화되어 종 다양성이 줄고 새와 짐승들이 사라졌다.

미생물은 누룩의 발전으로 술을 만들고 식초가 되고, 유산균의 집합체인 김치 등 효소와 발효로 풍성한 물산으로 풍족한 영양섭취로 질병에 저항력을 높여 주었다. 제향에 술, 초, 장, 김치가 필수였다.

무너미 땅의 문전옥답은 마을에서 쏟아내는 변의 유입으로 물이 오염되어 수인성 병균이 번성해 이질이 발병했다. 또한 소의 사육 폭등으로 축복과 고충은 풍부한 노동력에, 홍역, 천연두가 발병하고 우역이 크게 확산했다.

이 책은 조선의 호랑이 나라가 사회적 변화와 변천으로 멸종되는 많은 자료와 재미있는 이야기로 엮어 손을 놓기가 쉽지 않다.

 

이수용
수문출판사 대표

*함께 읽으면 좋은 책

– <총,균,쇠 : 무기 병균 금속은 인류의 문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퓰리처상 수상작> / 재레드 다이아몬드 저 / 김진준 역 / 문학사상사 / 2005년 12월

– <가이아 : 살아 있는 생명체로서의 지구> / 제임스 러브록 저 / 홍욱희 역 / 갈라파고스 / 2004년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