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지탐방]

날로 성장하는 공동체 더욱 만나고픈 사람들 

– 한살림경기남부 농산물위원회/ 경북 문경 희양산공동체

매달 하는 생산지 방문. 지방마다 공동체마다 작물마다 차이점은 있지만 한살림 산지의 특별함을 매번 느끼고 돌아옵니다. 이번에 방문한 희양산공동체는 특별함을 더욱 많이 느낄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지난해 잡곡산지로 방문했던 희양산공동체였지만 1년 만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일단 공동체 가구 수가 13가구에서 36가구로 늘었습니다.

희양산공동체2

귀농인들이 주축인 공동체 식구들이 유기농사짓는 모습들을 보여주며 마을 분들을 꾸준히 설득한 결과인 것 같아 뿌듯했습니다. 장경영 생산자님은 구성원 모두가 유기농지를 점점 더 늘리는 등 유기농업이 번져나가는 데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고 자랑하셨습니다. 친환경 마을을 만드는데 11년이 걸렸다고 하시며 쌀과 고추는 농약과 화학비료를 완전히 없애는데 성공하였고 한살림에 쌀도 소량이지만 내게 되었다고 합니다. 모내기 날짜를 먼저 정하고 역순으로 날짜를 잡아 볍씨소독부터 진행하는데, 미리 소통을 하고 내려간 덕분에 볍씨파종 모습을 보고 모판도 함께 나르는 귀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생산지탐방 4 사본

볍씨를 60도에서 7~10분 소독하는데 열탕소독을 처음 구경하시는 마을 어르신들은 볍씨가 익어서 싹이 나지 않을까봐 옆에서 안절부절 못했다고 합니다. 그 모습을 흉내 내시는 바람에 웃음이 터졌습니다. 소독하고 발아기에 넣은 볍씨는 60시간이면 싹이 납니다. 깨끗이 세척된 모판에 상토를 깔고 물로 적셔준 다음 싹틔운 볍씨를 고르게 펴서 뿌리고 그 위에 다시 상토를 덮어주면 모판이 완성됩니다.

생산지탐방 2 사본

생산지탐방 3 사본

그 후에는 모판을 넓고 가지런하게 펼치고 그 위에 비닐을 덮어주고 다시 모판과 비닐 덮기를 몇 차례 반복한 후에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헝겊이나 부직포로 따뜻하게 덮는 것으로 작업은 마무리 됩니다. 작업은 모두가 공동으로 진행하며 순서는 한 집씩 차례차례 작업하였습니다.

오전 작업으로 너덧 집 분량을 마무리한 후 점심을 먹으며 이야기꽃을 피웠습니다. 희양산공동체는 영농조합법인이 아닌 작목반으로 운영하는 것을 기본 방침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수익사업을 하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워낙 모범적으로 운영되다보니 농업기술센터에서 투자제의도 있었고 지자체에서는 산을 사줄테니 마을공동체를 따로 만들라는 제의도 있었지만 다 거절하였답니다. 크게 욕심내지 않고 ‘노동이 받쳐주는 문화활동’을 하며 ‘우리가 번 돈은 모두 농민들에게 돌려주자’는 생각으로 운영하고 있기에 사회적기업도 거절하셨다고 합니다. 들을수록 놀라웠습니다.

dmz 평화농장 1 사본

토지위원회도 희양산공동체의 또 다른 특이점입니다. 주변 환경이 워낙 좋다보니 외지인들이 땅을 조금씩 매입하는 일이 생기고, 가격이 조금씩 오르는 일이 있었답니다. 농사를 지어야 하는 농민들이나 새로 귀농하려는 사람들에게는 결코 좋은 일이 아니지요. “우리가 농사지으려고 샀던 가격 그대로 후배들에게 넘겨줘야한다.”며 생겨난 것이 바로 토지위원회랍니다. 놀랍지요?

생산지탐방 1 사본

교육위원회나 경제봉사사업위원회 등도 토지위원회의 뒤를 이어 생겼답니다. 이런 자랑스러운 분들이 한살림 생산자공동체라니. 이야기를 들으며 가슴이 다 벅차고 감사한 마음이 절로 생겼습니다. “우리는 시설재배를 하지 않으면서 환경과 더불어 살려고 농사지으려 귀농한 것”이라고 말씀하실 때의 밝은 얼굴이 4월의 봄 햇살보다 눈부셨던 것은 저만이 아닐 겁니다.

오희옥 한살림경기남부 농산물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