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 소식으로 답사를 어쩔 수없이 미루게 된 것을 자연이 사과라도 하는 듯 마치 초여름 날씨를 만끽할 수 있던 날씨였다. 대전 시내에서 버스를 타고 종점까지 가야 만날 수 있는 수통골이나 계룡산보다 훨씬 자연을 더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월평공원. 2009년 경 도솔터널 공사가 착수될 때 대전환경운동연합을 포함한 여러 환경단체와 환경운동가가 월평공원과 도솔산의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며 반대운동을 펼쳤던 무대인 그 월평공원이다. 터널공사가 완료되면서 수리부엉이는 다시 월평공원에서 볼 수 없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굽이 쳐야할 갑천의 물길이 조금 바뀌었다. 뿐만 아니라 도안동과 원신흥동 일대에 조성될 호수공원 공사 현장으로 도안동 쪽 갑천 인근은 바리게이트로 혼잡하다. 7월부터 시행될 도시공원 일몰제의 대상으로 민간특례사업 취소 및 부결 등 대립 양상이 고조돼있기도 하다. 하지만 만년교부터 가수원교에 이르는 3Km 구간은 아직 도심 속의 하천으로 버티고 있다.

그런 월평공원의 봄은 어떤 모습일까? 민혜영 활동가님과 함께 월평공원엔 한 달에 적어도 두 번 이상 방문하신다는 이경호 처장님을 따라나섰다. 그리고 처장님과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는 멋진 파트너, 카메라도 함께.

 

월평공원은 도심 속에서 하천, 습지 생태계를 자세히 관찰이 가능한 대전에게 특별하고 중요한 장소이다. 도솔산과 갑천 사이의 길을 따라 계속해서 전진하다보면 곳곳에 봄을 맞을 준비가 된 버드나무들이 줄지어 서있다. 도로 확장, 정비등 공사로 개체수가 많이 줄었다고 하지만 흙 길 가운데에 서있는 왕버드나무는 물가까지 뿌리를 길게 뻗었을 만큼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아열대, 열대 지방에는 맹그로브(mangrove)나무가 서식한다면 대신 우리나라엔 버드나무가 있다. 하천변의 버드나무 군락은 미세먼지와 탄소저감에 무척 효과적이다. 홍수와 가뭄, 정화와 정수의 기능 또한 뛰어나서 인도네시아 쓰나미 사태 때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맹그로브 숲이 있는 지역처럼 버드나무도 우리나라에서 그 역할이 상당하다는 뜻이다.

포장된 산책로를 뒤로 하고 더 깊이 공원 안 쪽으로 들어서면 대전환경운동연합과 시민 분들이 참여해 조성한 생태놀이터를 만날 수 있다. 이미 도롱뇽과 개구리의 알들은 구불구불 모여서 부화를 기다리고 있었다. 갓 부화한 올챙이들은 알들과 함께 생태놀이터를 만끽하는 중이였다. 뒤를 돌아보면 아파트, 빌딩, 대형마트와 11차선 도로가 보이는데 지금 내 앞에는 손톱만큼 작은 생명들이 춤을 추고 있다. 올챙이를 본 기억이 까마득했다. 내가 대전환경운동연합 소속이라는 것이 새삼 감사해지고 또 나는 얼마나 자연을 멀리 해왔는가 부끄러워졌다. 신기하고 놀란 표정을 조금 감추기 위해 바위에서 흘러나오는 샘물 떠서 한 모금 마셨다.

 


 

추운 겨울을 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나무에 걸어놓은 새 모이통과 둥지들을 열어보며 모니터링 또한 잊지 않았다. 역시 시민 분들과 직접 함께 만들었던 모이통엔 모이의 쭉정이들만 남았다. 합판으로 만든 둥지 안에는 이끼와 폭신한 나뭇잎이 채워져 있었다. 새들에게는 수요가 줄지 않는 꽤나 인기 있는 매물이라고 한다. 야생 조류들에게는 마치 <구해줘! 홈즈> 프로그램의 최종 선택된, 접근성이 뛰어난 식당가가 조성되어있고 가성비가 우수하고도 외관이 멋진 집 같은 것이다. 상반기에는 새들의 채식이 어렵지 않으니 곧 모이통을 수거한다고 하셨기에 이번 년도 하반기의 새 모이주기 활동이 벌써부터 기대된다.

  

동서대로, 도솔 터널 개발을 반대했던 현장인 끊어진 골짜기, 금정골에서 우리가 서있던 이 자리가 희귀식물인 땅귀개, 이삭귀개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발견된 서식지였다는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또 부근 곳곳에 자리한 참나무 군락은 숲이 자리를 잡는 과정인 천이 과정 중 가장 마지막 단계에 조성되므로 이 숲이 아주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겉껍질이 코르크로 쓰인다는 굴참나무가 옆에서 살랑 살랑 얼마 없는 잎사귀를 흔들면서 맞장구쳤다.

그렇게 참나무 숲을 지나고 중간에 보이는 징검돌을 건너 갑천을 건널 수 있다. 징검돌다리에 서서 갑천의 물살과 주변을 둘러보면 얼핏 곡류 하천의 자연적인 모습인 자연제방, 작은 우각호, 물길이 흘렀던 구하도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대도시의 가운데에서 이렇게 보존된 하천, 습지는 만나기 힘들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호수공원 개발부지, 바리게이트를 왼편에 두고 갑천을 오른편에 두면서 출발점을 향해 되돌아간다.

 

산책로 중간 중간 아마 야생 조류 관찰과 전망 감상을 위한 시설물인 듯 하나 무성하게 자란 갈대와 공사로 야생 생물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기에 설치의 이유를 알 수 없는 데크도 볼 수 있다. 아이러니하다 못해 당황스럽다. 월평공원에 서식한다는 야생 동식물의 설명 팻말을 읽고 뒤돌면 인공 호수공원과 건물 개발 부지가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바리게이트를 마주보고 자라고 있던 종보존등급 3급, 주요감시대상종인 쥐방울 넝쿨이 부디 더 서식지를 확장시켜갔으면 한다. 그리하여 아름답기로 유명하지만 모습을 보기 힘들다는 긴꼬리명주나비가 쥐방울 넝쿨 주위에 나울거리는 장면을 볼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기를 소망한다.

초봄의 월평공원의 모습은 이러했다. 사람들은 개발과 공사 문제로 하루가 멀다하게 갈등을 빚고 있는 중에도 월평공원은 봄을 맞이하고 있었고 생물들은 각기 제 할 일을 하느라 여념이 없는 듯 했다. 여전히 딱새는 눈 깜짝할 새 날아가고 대백로는 물길 한켠에서 가만히 서 있었다. 오리들도 쌍쌍이 모여서 목욕을 재계했다. 앞서 말했듯이 양서류들과 식물들도 엊그제 내린 봄비, 매년 일찍 찾아오고 있는 따뜻해진 날씨에 어쨌든지 온 힘을 다해 깨어날 준비를 하고 있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매해 월평공원을 포함한 갑천 일대에서 시민들과 함께 생태 탐사 체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제껏 받아온 시민들의 관심과 사랑이 앞으로도 지속되어서, 아니 더욱 증폭되어서 부디 더 이상 대전의 자연이 훼손되지 않는 미래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