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2일, 늦은 7시, 문흥동에 자리한 햇살마루 도서관에는 변산에서 오신 윤구병선생님을 만나기 위해 북구지역에 거주하는 광주환경운동연합 회원들과 문산마을공동체 마을 주민들이 함께 했습니다.

올해 책읽는 강연회는 마을과 지역을 찾아가는 움직이는 강연회 형태로 진행,  지역에 살고 있는 회원들과  마을공동체을 꾸려나가는 마을활동가들이 함께 만나는 자리로 기획되었습니다.

그 첫 지역, 문흥동에서 햇살마루도서관을 주민의 힘으로 만들고 운영하는 문산마을공동체와 함께 했습니다.

강연회에는 윤구병선생님의 책을 읽은 많은 이들이 반갑게 윤구병 선생님을 맞이해주었고, 윤구병선생님도 유쾌한 강의로 응답해주었습니다.

본인을 변산에 사는 뒷방 늙은이라고 소개하시며, 풀어간 이야기는 김희련 교육위원장의 글을 대신합니다.

————————————————————————————————————————————————————————-

‘꽃들은 검은 꿈을꾼다’ 책읽는 강연회

글 : 김희련(광주환경운동연합 교육위원장)

변산공동체에서 농사꾼으로 살고 계시는
농부철학자 윤구병선생님을 모시고 이야기를 나눕니다. 북구청소년수련관 로비에 있는 
오랑우탄조각을 보시고 함께 기념사진을 찍습니다. 왔다갔다 하며 나를 기억할 수 있을꺼라 말하며 
‘껄껄’ 웃으시네요. 웃음이 맑습니다.
‘있는 것을 있다하고 없는 것을 없다하는 참과 진실의 차이.

어제 이제 아제를 통해 있을 것을 있게 하고 없을 것을 없애는 바램을 이야기합니다. ㅎ 존재론이랍니다. 손발을 묶어놓고 거짓을 말하게 하지말고 아이들을 자연의 품에서 놀게 하자고 합니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단군신화’를  우리 말에 남아있는 흔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재미난 이야기에 ‘꼴깍’.

해가 된 여신. 전쟁과 힘의권력으로 지배되는 남성중심사회가 우리땅이야기를 바꾸어 놓았네요.
하지만 ‘말’이라는 것이 남아 있어 참을 알려줍니다.
‘아이’와 ‘어이’. 아이와 어른. 하늘은 검고 땅은 누렇고 해는 희고 달은 붉고 풀은 푸릅니다. 자연빛에 잇고 사는 삶을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말을 어렵게 하면서 어려운 글을 마을 담벼락에 붙이던 사람들이 창들고 칼차고 마을을 휘젓고 다니는 일이 많습니다. 삶에서 멀어진 어려운 말이 퍼지니 보통사람들의 살길이 더 막히는 것 같습니다.
‘가시버시’라는 말은 부부를 일컫는 말인데 ‘꽃’과 ‘벗’이라는 말에서 온 말이랍니다. 여자보다는 꽃이 더 아름답고 남자보다는 벗이 더 믿음직하다고 하시네요.
‘가시’와 ‘버시’가 손잡고 가는 길은 ‘가시밭길’이 아니라
‘꽃’과 ‘벗’이 함께 가는 ‘가시밧길'(p103)입니다.
‘있다. 없다.’ ‘이것, 저것.’을 생각하는것은 사는 길을 알게 하며 사랑하는 일입니다. 

p45
사랑한다는 말은 본디 우리 말에서 ‘살길을 찾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지난 기억을 더듬는다.’는 뜻을 지닌 생각한다는 말과는 다른 뜻을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어머니 아버지가 하던대로 따라서 하기만 해도 살길이 열렸던 지난날과는 달리, 요즈음은 깊이깊이 사랑해야 살길을 열 수 있습니다.

사람들과 닷고 사랑해야겠습니다. 살아야 하니.

‘오랜만에 어른을 만났구나~’하는 생각입니다.
참 고맙습니다.
건강을 걱정했는데 기운찬 모습을 뵈어서 좋았습니다.
부디 건강하셔서 자연이 들려주는 ‘말’을 또 전해주시길 바래봅니다.
새로 문을 연 청소년카페 ‘꿈잡’의 커피와 음료 잘 마셨습니다. 빛고을아이쿱생협 마을모임에서 준비한 간식 잘 먹었습니다. 함께 판을 만들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 광주환경운동연합!